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jax.js

기타 광학기구


GRIN 렌즈

빛을 조금씩 꺾어준다.
photo

GRIN 렌즈 _ 상업용으로 판매되는 렌즈 GRIN 렌즈로 크기는 유효직경이 수 mm 이내이다. 실제로 보통의 렌즈는 직경이 1mm 이하로 작동거리가 5mm 이하로 만들기는 거의 불가능하지만 GRIN 렌즈는 이러한 직경에서 렌즈의 출구에서 바로 상을 맺게 할 수도 있다.

빛이 굴절률의 경계에 진입할 때는 스넬의 법칙에 의해 굴절하고, 이 성질을 이용하는 렌즈는 경계를 구면이나 구면에 가깝게 만들어서 결상이 되도록 하였다. 한편, 굴절률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매질 속에서 광선이 점진적으로 그 진로가 꺾어지는 현상을 이용해서 상을 맺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막에서 하늘의 모습이 멀리 호수가 있는 것처럼 나타나거나 오아시스의 상이 가까이 맺혀지는 신기루와 비슷한 상황이다. 이러한 원리로 유리에 일정한 굴절률 분포를 주어서 만든 것을 GRIN 렌즈(gradient index lens)라고 한다.

GRIN 렌즈는 보통 유리 기둥처럼 앞뒤 경계가 평면으로 되어 있고, 중심축에서의 거리에 따라 굴절률이 점진적으로 변한다. 그렇다면 볼록렌즈의 기능을 가지기 위해 굴절률 분포가 어떻게 되어야 할까? 볼록렌즈는 바깥으로 나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므로 중앙에 비해서 그 곳을 광선이 빠르게 통과한다. 따라서 GRIN 렌즈도 중앙에 비해 가장자리로 갈수록 굴절률이 작아져서 빠르게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한쪽이 평면이고 다른 한쪽이 곡률 R이고 중심에서의 두께가 D볼록렌즈를 생각하자. 중심에서 거리 r 떨어진 지점의 두께는 d(r)=D(RR2r2)D12r2R2 으로 거의 r2 비율로 얇아진다. 따라서 GRIN 렌즈굴절률을 가장자리로 갈수록 r2에 비례하게 줄어들게 하면 볼록렌즈와 비슷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보통 굴절률의 분포를 다음과 같도록 한다. n(r)=n01α2r2n0(112α2r2) 이 식에서의 α는 매우 작은 수로서 바깥으로 나갈수록 얼마나 급하게 굴절률이 줄어드는가를 나타낸다. 이 값이 GRIN 렌즈의 총체적인 특성이 되어 물매상수(gradient constant)라 한다.

sim

GRIN 렌즈에서의 광선의 행동_ '리셋' 버튼을 누르면 하나의 GRIN 렌즈가 생성되어 오른쪽으로 광선이 진행해서 렌즈로 진입한다. 두께, 물매상수 등은 그림의 픽셀을 단위로 해서 나타내었으며, 렌즈의 반경은 95 이고, 중심에서의 굴절률은 2.0로 고정되어 있고 두께와 물매상수 값은 '리셋' 버튼을 누를 때마다 달라지고 이들 값은 화면 아래에 표시된다.

위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GRIN 렌즈를 가로지르는 광선은 거의 sin 함수에 가까운 주기적인 행동을 한다. 이 계산에는 굴절 법칙을 적용하기 곤란하므로 '빛의 성질' 단원에서 다루었던 페르마의 원리를 이용한다. 페르마의 원리를 변분법으로 해석하면 굴절률n(r)의 공간을 진행하는 광경로 rdds(n(r)drds)=n(r) 을 만족한다. 여기서 s광경로를 따라가는 물리적인 거리이다.

GRIN 광학계의 광축z 축으로 하고, 이로부터 벗어난 거리를 r로 둔다. 여기서는 광축이 놓인 평면(자오면)에 놓인 광선, 즉 자오광선만을 고려하도록 한다. 이 경우는 (z,r)의 2차원 문제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보통의 렌즈를 다룰 때처럼 근축광선의 조건에서 dsdz로 둘 수 있다. 따라서 s에 대한 미분은 z에 대한 것으로 바꿀 수 있다. 여기서는 (1) 식의 굴절률z에 무관하고 하고 또한 이의 는 쉽게 계산된다. 즉 d2r(z)dz2=α2r(z) 이다. 광축에서의 거리 r의 방정식은 쉽게 풀려서 다음과 같이 sin 함수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z)=r0cosαz+θαsinαz 이 식은 GRIN 렌즈의 경계에서 r0 지점, 기울기 θ로 진입하는 광선에 대한 궤적을 나타낸 것이다. 이로부터 어떤 광선이든 모두 GRIN 렌즈 속에서는 공간주기 2π/α으로 진동하는 모양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일 평행광선이 진입하면 일단 π/2α 지점에서 모여들므로 초점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실제의 GRIN 렌즈는 제한된 길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다시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광선은 경계에서 굴절을 하게 되어 이를 고려해서 초점거리를 정해야 할 것이다.

sim

공간주기 길이의 GRIN 렌즈_공간주기와 같은 길이를 가진 GRIN 렌즈입사면에 광원이 있을 때 거의 출사면의 바로 선 상을 맺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물매상수를 비현실적으로 큰 값으로 하여 공간주기를 줄였기 때문에 근축광선에서 벗어날수록 결상 지점이 앞으로 당겨진다. 한편 가운데의 중심선은 공간주기의 반의 지점으로 이 면에서는 거꾸로 선 상이 맺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제로 GRIN 렌즈공간주기의 1/4, 1/2 등의 길이로 제작해서 물체와 상을 렌즈에 접촉된 면에 놓이는 상황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두꺼운 렌즈와 같이 주요면을 도입하여 결상을 간단히 작도할 수 있다.

다음 그림은 GRIN 렌즈에서 상의 결상을 작도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두꺼운 렌즈와 마찬가지로 물체초점(Fo)에서 나가는 빛이 평행광선이 되는 과정에서 한 번 꺾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 제1주요면과 평행광선이 상초점(Fi)으로 모일 때 한 번 꺾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 제2주요면을 도입할 수 있고, 이로부터 세 광선을 작도해서 결상되는 위치를 알 수 있다.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FFL과 BFL은 같은 값을 가진다.

graphic

GRIN 렌즈의 결상_GRIN 렌즈에서 물체의 결상에 대한 도해이다. 두꺼운 렌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주요면제2주요면을 도입할 수 있어서 동일하게 물체에서 나온 세 가닥의 광선으로 상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질문1] 길이가 L, 중심에서의 굴절률n0, 물매상수αGRIN 렌즈가 있다. 이의 초점거리가 다음과 같음을 증명하라. (바깥의 매질은 굴절률이 1이라 하고, GRIN 렌즈로 진입할 때와 나갈 때의 굴절을 고려해야 한다) f=1n0αsin(αL)

[질문2] GRIN 렌즈의 BFL이나 FFL을 작동거리(working distance)라고도 한다.
(a) 질문 1의 렌즈의 작동거리가 다음과 같음을 보여라. FFL=BFL=1n0αcot(αL) (b) 질문 1의 결과를 같이 이용해서 제1주요면이 왼쪽 면에서 다음 거리에 있는 것을 보여라. ¯V1H1=¯H2V2=1n0αtan(αL2)


_ 페르마의 원리_ 스넬의 법칙_ 두꺼운 렌즈_ 제1주요면_ 제2주요면_ 공간주기_ 근축광선_ 자오광선_ 볼록렌즈_ 물체초점_ 초점거리_ 신기루_ 입사면_ 상초점_ 광경로_ 자오면_ 굴절률_ 진동_ 광축



Copyright ⓒ 1999~2025 physica.gnu.ac.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