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전효과를 면밀하게 분석해본 물리학자들은 맥스웰의 전자기 파동으로는 이 현상을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것을 알고 낙담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한 사람의 영웅이 나와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별로 오래 기다릴 필요는 없었다. 그 영웅은 바로 같은 해에 시간과 공간에 대한 혁신적인 사고의 전환을 하게 만든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한 아인슈타인이었다.
아인슈타인은 광전효과 현상에 대한 실험 결과들을 세부적으로 잘 듣고 있지는 못했지만 빛에 대한 대담한 제안을 통하여 이 문제를 다 해결할 수 있었다. 광전효과는 빛이  의 에너지를 갖는 입자로 행동한 결과라고 주장하였다. 입자로 행동한다 함은 실제의 물질입자처럼 에너지와 운동량을 가지고 있으며, 전자와 충돌하여 에너지와 운동량을 전달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입자로서의 에너지는 그 진동수에 비례하고 그 비례계수는 바로 플랑크가 흑체복사에서 제안하였던 플랑크 상수이다. 가시광선의 경우 진동수가        정도이므로 이의 에너지는       정도의 작은 값을 가지고 있다.
즉 빛은 진동수에 비례하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하나의 알갱이인 것이다. 이렇게 어떤 물리량이 덩어리로 되어 띄엄띄엄한 값을 가진 것을 양자(量子: quanta) 라고 한다.
광자가 금속 속의 전자를 튕겨낸다!
광자가 마치 당구공이 다른 당구공에 충돌하여 튕겨내는 것처럼 금속 내부의 자유전자를 방출시킨다는 가정으로 아인슈타인은 광전효과를 잘 설명할 수 있었다.
금속 내부의 자유전자는 그 속에서는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이지만 금속을 박차고 나가는 데는 얼마 이상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를 일함수(work function)이라 하는 데  로 표기하자. 그러면 전가가 에너지  인 광자를 흡수한 후 금속표면을 벗어나게 되면 나머지 에너지는     이 될 것이다. 이것이 가능한 최대운동에너지가 될 것이다. 즉, 이 식은 광전효과의 결과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질문1]
사람의 눈은           의 500nm의 노란 빛이 망막에 도달할 때 겨우 이를 인지할 수 있다. 이는 1초당 몇 개의 광자에 해당하는가?
[질문2]
Cs의 일함수는 약 1.8 eV 이다. 에너지가 2 eV 인 전자를 Cs 로부터 방출시킬 수 있는 빛의 최대파장은 얼마인가?
[질문3]
눈 수술 과정에서 떼어낸 망막을 파장 632nm, 출력 0.5 W인 He-Ne 레이저로 제자리에 붙인다. 이 레이저는 20 ms 시간마다 하나의 강력한 펄스를 발생한다(발생주기 20 ms). 각 펄스에 몇 개의 광자가 있는가?
_ 특수상대성이론_ 아인슈타인_ 광전효과_ 자유전자_ 흑체복사_ 가시광선_ 운동량_ 진동수_ 레이저_ 파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