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성자가 양성자로 변신한다.
베타붕괴는 핵 속의 중성자가 양성자로 변하면서 전자가 튀어 나오는 현상이다. 이에 따라 핵의 질량수는 변하지 않지만 양성자수가 하나 늘어나므로 원자번호는 1 증가하게 된다.
graph |
|
베타붕괴_ 핵 속의 중성자가 양성자와 전자로 변하면서 전자가 핵 밖으로 뛰어 나온다.
|
중성미자라는 새로운 입자
베타붕괴를 통하여 방출되는 전자의 에너지 분포를 면밀하게 조사해본 결과 전자의 에너지의 상한값이 기대보다 작았다. 그뿐만 아니라 총각운동량도 붕괴 전후로 보존되지 않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어서 파울리는 1930년 중성미자(neutrino)라는 새로운 입자가 도입해서 이들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다. 이 입자는 전하를 띄고 있지 않고 물질과 상호작용도 거의 하지 않는 특이한 입자로 처음에는 질량도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파울리가 중성미자를 처음 도입할 때에는 전하가 중성이라는 사실로부터 'neutron'라고 명명했으나 2년 뒤 채드윅이 또다른 중성의 핵자를 발견하고 나서 혼돈을 피하기 위해서 이탈리아어로 작다는 의미를 가미한 'neutrino'로 다시 명명하였다. 중성미자가 방출되는 자세한 이론는 그 뒤 페르미에 의해 수립되었는 데., 중성미자는 전자기력을 느끼지 않는 등 물질과 상호작용이 매우 약해서 페르미의 사후인 1956년이 되어서야 역베타붕괴로 직접 이를 관측할 수 있었다. 한편, 중성미자는 처음에 제안한 대로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질량이 0이라고 생각되었으나 태양의 핵융합 과정에서 나오는 중성미자가 지구상에서 예상보다 더 적게 관찰된다는 사실로부터 중성미자가 다른 종류의 중성미자 사이에서 진동을 할 뿐만 아니라 조금이나마 질량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현재까지 추정한 질량의 추정값은 상한이 0.12 eV/c2인 데 광자를 제외한 그 어떤 입자보다도 훨씬 가볍다.
1. 중성미자의 질량은 거의 0 인 0.12 eV/c2 이하이다.
2. 중성미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3. 중성미자는 스핀이  인 페르미온이다.
4. 중성미자는 베타붕괴의 약한상호작용과 아주 미약한 중력상호작용의 두 상호작용을 한다.
5. 자연에는 위와 같이 전자와 함께 방출되는 중성미자와 함께 모두 세 종류의 중성미자가 있다. 이들은  ,  ,  으로 각각은 세 종류의 전자계열 , , 에 대응된다.
다양한 베타붕괴의 변종들이 있다.
graph |
|
베타붕괴와 관련된 반응들_ 위로부터 각각 베타붕괴, 양전자방출, 전자포획을 보여준다. 베타붕괴는 중성자가 양성자로 변하면서 전자와 반중성미자를 방출하고, 양전자방출은 양성자가 중성자로 변하면서 양전자와 중성미자를 방출한다. 전자포획은 양성자가 전자를 포획하여 중성자로 변하면서 중성미자를 방출한다.
|
오른편 그림의 맨 위 반응은 베타붕괴에서 중성미자가 방출되는 것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다음 반응은 베타붕괴의 거의 역과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양성자가 중성자로 바뀐다. 이를 양전자방출(positron emission)이라 하는 데 1934년 퀴리 부인의 사위와 딸인 프레데리크와 졸리오 퀴리가                         의 핵반응에서 나온      이 곧 이어 양전자를 방출하는 것으로 최초로 관찰하였다. 이듬해 이들은 이 업적으로 졸리오의 부모처럼 부부가 노벨상을 공동수상했다. 중성자가 양성자보다 질량이 무겁기 때문에 그림과 같은 단순한 상황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핵 속에서 특별한 조건이 성립할 때 일어나게 된다. 보통의 베타붕괴는 전자를 방출하는 반면에 양전자방출은 말 그대로 양전자를 방출하는 정도의 차이가 있는 대칭적인 핵변환이어서 각각을  붕괴(beta minus decay),  붕괴(beta plus decay)라고 구분하여 부르기도 한다.
이 외에도 양성자가 전자를 포획하여 중성자로 바뀌면서 중성미자를 하나 방출하는 전자포획(electron capture)이 있다. 이는 핵속의 양성자가 초과되어 있는 원자에서 양성자가 안쪽의 K나 L 껍질의 전자를 포획해서 중성자로 변하는 과정으로 질량수 변화없이 원자번호가 하나 감소한 새로운 원자로 변한다.
베타붕괴의 예
아래에 예시하는 여러 핵반응들은 질량수는 변하지 않고 원자번호가 늘거나 준다. 이 반응으로 핵은 보다 안정된 핵으로 변하게 된다.
_ 태양의 핵융합_ 총각운동량_ 안정된 핵_ 페르미온_ 핵반응_ 중성자_ 채드윅_ 양성자_ 파울리_ 진동_ 전하_ 핵자_ 스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