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붕괴는 확률적인 과정이지만 일반적으로 물질에 포함된 동위원소의 갯수가 매우 많으므로 붕괴에 의해 줄어드는 동위원소의 수나 이들이 내는 방사능은 지수함수적으로 줄어드는 등 정확하게 수식으로 예측되는 행동을 하게 된다. 더구나 붕괴의 확률은 핵의 상태로부터 정해지는 데 핵 자체가 온도나 압력 등 환경적인 요인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그 확률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붕괴한 동위원소의 수나 방사능의 변화를 평가하여 경과된 시간을 계산하는 방사능 연대측정법(radiometric dating)이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graphic |
|
방사성 탄소로의 변화_ 대기의 질소가 우주선의 2차 생성물질인 중성자에 의해 방사성탄소로 변하는 과정. 이 과정에서 양성자 하나가 나오게 된다.
|
방사능 연대측정법은 이용하는 동위원소에 따라 매우 다양한데, 특히 선사시대나 역사시대의 인류의 유적을 조사하는 데는 널리 쓰이는       을 이용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법(carbon dating)을 알아본다.
하늘에서는 지구로 쉴 새 없이 양성자, 중성자, 중성미자, 뮤온 등 소립자나 원자핵들이 쏟아지고 있다. 이들을 모두 우주선(cosmic ray)이라 한다. 이들은 대기의 원자핵을 분열시켜 여러 종류의 이차 입자를 생성시킨다. 그들 이차 입자 중에 중성자는 다음과 같이 질소와 반응하여 방사성탄소와 양성자를 생성시킨다. 여기서의 양성자는 전자를 포획하여 수소원자가 되고, 중성자가 과다하게 포함되어 있는 탄소의 방사성동위원소는 반감기 5,730년의 베타붕괴를 통하여 질소가 된다.
graphic |
|
방사성탄소의 붕괴_ 방사성탄소가 다시 반감기 5,730년의 베타붕괴에 의해 질소로 변하면서 하나의 전자가 방출된다.
|
아래 그림은 우주선이 만든 중성자가 질소   의 한 원자를    의 원자로 바꾸어    과    로 분리시키고, 이 중    가 산화하여      (방사성이산화탄소)가 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렇게 생성된 방사성이산화탄소의   는 일정한 비율로 붕괴하지만 앞서 '동위원소의 생성과 붕괴'에서 살펴본대로 우주선에 의한 생성율과 결국 평형을 이룰 것이다. 방사성탄소 연대측정법은 이렇게 대기의 이산화탄소에서의 방사성이산화탄소의 비율이 계속해서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것을 전제한다.
graphic |
|
방사성탄소 연대측정법_ 대기의 질소 분자 중 질소 원자핵 하나는 우주선에서 생성된 중성자에 의해 탄소의 방사성동위원소인14C로 바뀌고 이는 곧 산소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를 형성한다.14C는 5,730년의 반감기로 다시 질소로 돌아가지만 계속해서 우주선에 의해14C가 생성되므로 대기의12C와14C의 비는 일정한 평형상태를 유지한다. 식물은 계속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므로14C의 비는 대기와 같지만 이 식물이 죽으면 대기와의 탄소교류를 끝내게 되어14C 가 계속 줄어들게 된다. 그림에서는 보통의12C를
■
색으로,14C를
■
색으로 나타내었다.
|
녹색식물은 광합성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를 탄수화물로 바꾸어 가지기 때문에 식물체는 속에 방사성탄소를 머금고 있다. 또한 동물들은 이 식물을 섭취하므로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는 세포 속에 적은 양의 방사성탄소를 가지게 된다. 이 방사성탄소의 혼합은 매우 활발하여 살아있는 식물이나 동물은 보통의 탄소       와 방사성탄소의 비율이 대기에서와 같이 유지된다.
생명체가 죽고 나서는 더 이상 대기의 탄소를 섭취하지 않게 되므로 그 속의 방사성탄소는 계속 붕괴에 의해 줄어들게 된다. 사체의 조직이 가지고 있는 방사성탄소의 양은 5,730년후에는 살아있을 때에 비해 반으로 줄게 되고 11,460년 후에는 사분의 일만 남게 될 것이다. 보통의 탄소와 방사성탄소의 비율을 조사하면 오래된 유기물체의 연대를 알 수 있게 된다. 미이라나 목재도구, 천, 가죽, 모닥불을 피운 재, 오래된 문화유적 등 12 반감기인 7만년 정도까지의 연대를 알아내게 된다.

[질문1]
살아있는 식물의 탄소의 방사능을   이라 하자. 또한 어떤 유적 속에 포함된 같은 나뭇조각에서 나오는 같은 양의 탄소에 의한 방사능이  이라면 그 나무가 죽은 때부터 지금까지 지난 시간이 다음과 같음을 보여라.                                     여기서    는    의 반감기이다.
[질문2]
대기의   에 대한   의 성분 비율은         로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 어떤 고대유적에 포함된 탄소의 성분분석을 한 결과         이라고 하자. 이 고대유적의 매몰 연대는 지금으로부터 몇 년 전인가?
_ 방사성붕괴_ 동위원소_ 베타붕괴_ 중성미자_ 중성자_ 양성자_ 온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