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프로그램은 핵의 붕괴가 일어나는 양상을 알아볼 수 있는 모의실험이다. 아울러 나름대로의 붕괴(사멸)특성을 갖는 생명체의 경우에 대해서도 실험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핵의 수는 200~1000개로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재)시작' 버튼
을 누르면 시간이 흐르기 시작하여 핵이 붕괴하여 딸핵으로 변하게 된다. 시시각각 남아있는 어미핵의 개수를 주목해 보자. 언제나 나머지의 일정부분이 줄어드는 데는 거의 같은 시간이 걸리는 것을 모의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
exp |
|
핵의 붕괴법칙 모의실험_ 방사성동위원소는 각각이 정해진 붕괴확률로 붕괴를 한다. 확률은 아래쪽 왼편의 슬라이더로써 조절할 수 있는 데 '붕괴/사멸 지수'가 바로 초당 붕괴할 확률이다. 한편 개체수는 초기에 400으로 조절되어 있지만 선택도구를 통해서 변경할 수 있다. 개체수는 200, 400, 600, 800, 1000를 선택할 수 있다. 개체 수를 늘리면 정교한 붕괴 그래프를 만들 수 있다. 실제 물질을 구성하는 핵의 수는 아보가드로 수인 1023개 정도이므로 이 정도에서는 요동이 거의 없이 정확한 지수함수적인 감소의 양상을 그대로 보일 것이다. 조건을 변화시켜서 새롭게 시작시켜도 오른편의 그래프는 그대로 남아 있어 조건에 따른 붕괴양상의 변화를 비교해 볼 수 있다. 한편 핵의 붕괴 양상과 생명체의 붕괴양상을 비교해 볼 수 있도록 생명체 1과 생명체 2을 추가하였다. 생명체 1은 나이에 따라서 죽을 확률을 증가시키고 있어 일정한 시간 (거의 100~150초(년)이 되면 다 죽는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생물은 사람을 비롯하여 포유류의 특성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생명체 2는 개체의 수에 민감하게 의존해서 개체밀도가 높으면 사멸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L" 모양의 특성을 가진다. 실제의 생명체는 나이, 개체밀도, 먹이사슬구조, 무작위적인 사건 등에 의존할 것이다.
|
프로그램의 조건
1. 방사성동위원소의 경우: 각 개체는 일정한 확률로 붕괴하며, 붕괴/사멸지수는 1초당 붕괴할 확률이 된다.
2. 생명체1의 경우: 나이가 많아질수록 사멸확률이 급격하게 커진다. 붕괴/사멸지수는 그 확률이 커지는 경향을 대강 조절하여 이를 크게 하면 평균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3. 생명체2의 경우: 사멸확률은 나이에 크게 상관하지 않으나 개체의 밀도가 높으면 사멸확률이 크다. 따라서 초기에는 매우 빠르게 줄어들게 된다. 이 경우에도 붕괴/사멸지수는 그 경향을 대강 조절하게 된다.
방사성동위원소 실험
1. 처음에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붕괴/사멸 지수'가 0.01인 200개의 방사성동위원소가 선택된다. 이제 '(재)실행'을 누르면 시간이 초 단위로 흘러가면서 붕괴가 시작된다. 이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경과된 후 각각의 원소가 1/2, 1/4, ... 으로 되는 시간이 위 그래프에서 표시되는 데 이 시간들을 기록해 둔다.
2. '초기상태로' 버튼을 누른 후 위와 같은 실험을 반복수행하여 1/2, 1/4, ... 이 되는 시간을 기록한다. 이렇게 10조 이상의 데이터가 취득되면 이를 표로 만들어서 평균을 내고, 아울러 겹쳐진 그래프를 화면을 캡쳐한 것과 함께 보고서에 첨부한다.
3. 반씩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의 평균값들에 어떤 규칙성이 있는지를 찾아보자. 그리고 이 결과를 이론적인 값인 반감기와 비교하라.
4. '붕괴/사멸지수'를 다르게 선택하여 1 ~ 3 의 절차로 실험을 반복한다.
5. '개체수'를 바꾸어 1 ~ 4 의 절차로 실험을 반복한다.
6. '생명체1' 과 '생명체2'의 경우에 대해서도 비슷하게 실험하여 '방사성동위원소'의 경우와 다른 특징들을 찾아보자.

[질문1]
많은 개체수로 실험한 것과 적은 수로 한 것의 본질적인 차이는 무엇인가? 이 분석을 통하여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해 아보가드로수 정도로 실험하면 그래프가 어떤 모양으로 그려지기를 기대하는가? '생명체1' 과 '생명체2'의 경우는 어떠할까?
[질문2]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해서 나이라는 개념을 부여할 수 있을까? '생명체1' 과 '생명체2'의 경우는 어떠할까?
[질문3]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해 붕괴/사멸지수는 1초당 붕괴할 확률이었고,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으로 초를 나타내었다. 만일 1년당 붕괴할 확률이었다면 가로축이 연(year)이 될까? 1초당 붕괴확률과 1년당 붕괴확률 사이의 변환관계는 어떻게 되는가?
[질문4]
생명체1의 경우 사람을 흉내내긴 했으나 결과가 실제의 사람과 다른 듯이 보인다. 사람의 수명을 결정짓는 요인들을 가급적 많이 생각해 보자. 그리고, 이를 프로그램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작성해 보자.
[질문5]
앞의 '생존곡선' 그래프에서 유형II의 히드라는 선형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생존/사멸이 어떤 원리로 이루어졌을까?
[질문6]
생명체2는 거의 밀도에만 의존하게 프로그램 되어 있다. 이처럼 사멸확률이 오직 밀도에만 비례하게 주어진 생명체의 붕괴의 법칙에 대한 방정식을 세워보자. 그리고 이 방정식을 풀이하여 붕괴곡선(생존곡선)의 함수를 구하라.
_ 아보가드로 수_ 핵의 붕괴_ 어미핵_ 보일_ 딸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