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jax.js

유도광학 효과


유도광학 효과

전기장, 자기장이 물질의 편광성질을 바꾼다.

물질에 전기장이나 자기장, 심지어 변형을 가하면 그 결정의 대칭성이 변경되어 복굴절을 띠지 않는 물질이 복굴절 물질로 되기도 하고, 활성을 띠지 않는 물질이 활성을 띠기도 한다. 전기장에 의해 결정의 광학적 성질이 변하는 것을 전기광학 효과(electro-optic effect)라 하고, 자기장에 의한 경우를 자기광학 효과(magneto-optic effect)라 한다. 또한 변형에 의해 광학적 성질이 변하는 경우를 광탄성(photo-elasticity)이라 한다.


_ 결정_ 복굴절_ 전기장_ 자기장

패러데이 효과

활성과 복굴절을 하지 않는 물질은 등방성의 결정이나 분자결합에 질서가 없는 비결정의 물질일 것이다. 이러한 물질에 자기장이 걸려 있을 때 그 자기장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이 활성을 띠게 되는 것을 1845년 패러데이(M. Faraday)가 발견하였다.

편광방향이 회전한 각(θ)은 자기장의 세기(B), 물체의 두께(L)에 비례하여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쓸 수 있다. θ=VBL 여기서 이 효과의 정도를 나타내는 비례계수 V베르데 상수(Verdet constant)라 한다.


몇몇 물질의 베르데 상수

물질

cm당 gauss당 각분
(min. of arc/cm·gauss)

소금 (NaCl)

0.036

0.013

다이아몬드

0.012

납유리

~0.04

수정 (quartz)

0.0166

공기

6.27 x 10-6

아래 그림은 패러데이 효과를 이용한 광고립장치(optical isolator)를 보여주고 있다.

graphic

광고립장치에서 빛이 투과 및 차단되는 상황_ 위 그림에서 앞 편광판을 통과한 선편광 방향을 패러데이 회전판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뒤 편광판을 그대로 잘 통과할 수 있다. 아래 그림은 빛이 뒤에서 들어오고 있고 위 그림과 달리 패러데이 회전판에 걸려있는 자기장의 방향이 빛의 진행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이므로 여기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편광 방향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마지막 편광판에 의해 빛이 차단된다.

그림의 위 부분은 위는 빛이 통과하는 상황으로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빛은 편광판에 의해 수직으로 편광된 빛이 통과하여 패러데이 회전자(Faraday rotator)에 진입한다. 이 회전자는 자기장이 그림처럼 걸려있을 때 편광면이 좌로 45o회전(빛의 진행방향 쪽에서 봤을 때)하도록 자기장과 길이가 조정되어 있어 그림처럼 45o선편광된 빛이 출구의 편광판에 도달하여 그 방향으로의 편광축을 가지고 있는 편광판을 그대로 통과한다.

반면에 그림의 아래 부분은 빛이 차단되는 상황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빛은 편광판에 의해 45o 기울어진 선편광의 빛이 되어 패러데이 회전자에 진입한다. 회전자에 의해 다시 좌로 편광면이 45o 회전하여 수평방향의 선편광이 되나 이 선편광의 빛은 왼쪽의 수직편광축의 편광판을 전혀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질문1] 광고립장치를 설명하는 그림에서와 반대 방향으로 자기장을 걸어주면 이 장치는 어떻게 작동할까? 또한 자기장을 그림에서보다 2배로 강하게 걸어주면 어떻게 될까?

[질문2] 그림에서 패러데이 회전자존스 행렬은 어떻게 표현될까? 순방향과 역방향에 대해 각각 표현해 보라. 임의의 각도 θ로 편광면을 회전시키는 회전자의 존스 행렬을 표현하라.

[질문3] 광고립장치광변조장치로 쓸 수도 있다. 그림의 위 부분과 같은 구성에서 패러데이 회전자에 걸리는 자기장을 가변시키면 45o 기울어진 편광판에서 출력되는 빛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외부의 전류나 전압으로 진폭이 변조되는 장치를 광변조장치(optical modulator)라 한다. 이의 작동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효율적으로 변조시킬 수 있는 구성, 그리고 외부 제어전류와 변조광량 사이의 관계식을 세워보라.


_ 결정_ 존스 행렬_ 분자결합_ 편광방향_ 복굴절_ 편광판_ 편광축_ 선편광_ 자기장_ 진폭_ 전류



Copyright ⓒ 1999~2025 physica.gnu.ac.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