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절격자는 일종의 홀로그램이다.
회절격자는 평면유리나 오목한 금속판에 다수의 평행선을 등간격으로 새긴 것으로 이것에다 빛을 비추면 투과 또는 반사된 빛이 파장 별로 나뉘어서 그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 이 회절격자(평면유리로 만들어진)에 평행으로 입사한 빛들은 금이 그어진 곳에서는 흡수가 되거나 산란하여 버리고 금이 그어지지 않은 좁은 틈으로 들어오는 빛은 통과한다. 그러나 통과한 빛은 그대로 직진하지 않고 호이헨스 원리에 의하여 회절되어 원기둥 형태로 퍼져 나간다. 이때 이웃하는 틈으로 통과한 빛과의 광로 차이가 파장의 정수 배가 되는 조건이라면 서로 보강간섭이 일어나서 빛이 강해지나, 광로차이가 파장의 정수 배가 아닐 때에는 소멸하여 버린다. 따라서 보강간섭이 일어나는 조건이 성립하는 어떤 특정한 방향으로만 빛이 밝게 비추어지고, 그 조건은 그 빛의 파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여러 파장의 빛이 섞여 있을 때에는 프리즘에서처럼 파장 별로 분리된다.
graphic |
|
회절격자_ 의 간격으로 많은 수의 슬릿(slit)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어 입사하는 단색의 평행광선이 세 방향으로 회절된다. 따라서 회절격자 앞에서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보면 건너편 멀리에 평행광선을 내는 광원이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이 허광원은 중심의 실광원과 함께 두 개가 나타날 것이다.
|
위 그림에서 간격으로 평행선의 슬릿(slit)을 가지고 있는 회절격자의 왼쪽에서 평면파가 들어와서 회절격자를 통과한 후 몇 갈래로 나뉘진 평면파로 진행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회절격자의 틈을 통과한 빛들은 서로 간섭하여 이웃한 빛과의 광로차가 파장의 정수 배가 되는 조건에서 보강간섭하는 세 가닥의 평면파가 서로 다른 각도로 진행하고 있다. 오른편으로 그대로 진행하는 파는 그 정수   인 경우이고,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진 파는   , 위쪽으로의 파는    인 경우이다.한편 홀로그램 오른편에서 홀로그램을 보면 실제로 비추어지지 않은 다른 평면파를 관측할 수 있고 따라서 아주 멀리 광원이 있는 것같은 허상의 존재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graphic |
|
회절격자와 홀로그램_ 연속적으로 투과율을 변화시켜 회절격자를 만들경우 단속적인 경우보다 더 특성이 우수한 성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홀로그램은 이렇게 원하는 형태의 파면을 생성하도록 그 투과율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또한 격자간격이나 형태를 변경한 것을 말한다. 그림에서 보는 두 개의 허광원이 이 경우에는 무수히 많이 조합되어 창(그림에서 회절격자의 면) 넘어 뚜렷한 물체의 형상을 보게 된다.
|
보통의 회절격자가 틈으로 되어 있어 그 틈으로는 전부 통과시키고, 막힌 부분에서는 전부 흡수하는 것과 달리 사진 필름의 투과율이 연속적으로 변하고 있으면서 같은 주기를 하고 있는 때에도 회절격자처럼 작용한다.
_ 호이헨스 원리_ 보강간섭_ 회절격자_ 평면파_ 프리즘_ 투과율_ 슬릿_ 주기_ 허상_ 파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