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에서의 핵융합 - 고온 플라스마 상태에서의 핵융합
graphic |
|
단면적과 융합반응_ 두 종류의 핵이 혼재하여 있고, 이들의 융합 단면적이 이다.  시간에 한 핵은 다른 종류의 핵에 대해 상대속도 로 이동하고 있어 이의 단면적이 쓸고 지나간 체적에 있는 핵과는 융합반응을 한다.
|
앞서 두 핵이 상대속도 로 서로 다가갈 때 융합이 일어나는 단면적을 계산했다. 단면적은 두 핵이 이 범위로 서로 스칠 때는 반드시 융합을 한다고 보는 면적이다. 실제로는 단면적의 범위 바깥으로 접근해도 융합을 할 확률이 있을 수 있고, 또한 단면적의 범위내로 접근해도 확률이 1은 아니다. 그러나 많은 핵이 덩어리진 물질에 다른 핵이 충돌하거나 많은 핵이 혼재된 플라스마 상태에서 핵들이 무작위하게 서로 접근하는 상황일 때 단면적은 계산을 간결하게 한다. 여기서는 가벼운 핵들로 응축된 별에서 핵융합으로 더 무거운 핵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열적평형상태의 구성 핵들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융합을 하는가를 알아본다.
오른쪽 그림처럼 서로 융합 가능한 두 종류의 융합가능한 핵 A와 B가  ,  의 밀도로 혼합되어 있는 플라스마 상태를 생각해 보자. A는 주변에 있는 B를 만나게 되면 융합을 할 가능성이 있다. 둘의 상대속도가 라면 A 하나가  시간에 B와 반응하는 횟수는 그림에서 처럼 이의 단면적이 만드는 원기둥에 포함된 B 핵의 수와 같다. 이의 부피는    이므로 반응횟수는      이다. 따라서 단위시간 당 A 핵 하나의 반응횟수는 이 된다. 는 나 의 함수로    처럼 이를 명확히 나타내었다. 단위체적에는  개의 A가 있으므로 단위체적, 단위시간에 대해 핵융합이 일어나는 횟수(열핵 반응률)는 이다. 여기서   은 각 핵의 열적인 운동에 대해 평균을 취한 것이다. 앞서 구한 핵융합의 단면적(   )과 맥스웰 분포함수(맥스웰-볼츠만 속력분포함수)를 이용해서 약간의 계산절차를 거치면,                                                                                               이 식에서의             는 에 대해 증가하는 함수이고         는 감소하는 함수로 적분함수는 특정한 에서 최댓값을 가진다.
아래 그림은 적분함수의 그래프로서 변화가 완만한    를 제외한 것이다. 이 예는 양성자-양성자 순환과정의 첫 단계로서 반응이 일어나는 관문이 가장 높은             의 반응(pp 반응)에 해당하는 것이다. 1,600 만도의 온도(         )는 태양의 중심온도이다.
graph |
|
융합특성함수의 에너지 의존성_             과         두 함수와 이의 곱의 그래프이다. 두 함수의 곱은 500,000 배로 하여 푸른색으로 나타내었다. 이 예시는 대체로 pp 반응에 대한 것으로 온도는 태양의 중심온도인        에 대한 것이다(굵은 푸른색). 또한  도 pp 반응에 대한 값으로 493.5 keV으로 두었다. 비교를 위해서        와        에 대한 것을 같이 나타내었다(가는 푸른색). 온도가 올라가면 전체적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노란색으로 표시한) 면적은 빠르게 커진다.
|
위 그림에서  는 핵융합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에너지로 이를 가모브 피크(Gamow peak)라고 한다. 적분함수의 그래프를 보면  를 중심으로 한 가우스 함수와 닮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적분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적분함수를 가우스 함수로 근사시키자. 이를 위해 우선 적분 함수          의    를 2차함수로 전개한다. 즉, 의 최솟값이    이므로                                      이 된다. 이제    를  의 주변으로 2차까지 테일러 급수전개하면                                이다. 이를   함수에 반영하면 (2) 식은 가우스 함수에 대한 적분으로 될 것이다. 단    는  를 중심으로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의 고정값으로 두어도 크게 무리가 없다. 이제 가우스 함수로 본 표준편차는                                          이다. 적분영역을  부터로 확장해도 결과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약간의 계산을 거치면,                                                          으로 정리된다.  가 에 의존하므로     역시 온도의 함수이기도 하지만 가 완만한 함수이므로 이 식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난 의 의존성이 지배적이라 할 수 있다. 이를 다음과 같이 의 멱급수로 근사시키면,                               이다. 예를 들어 앞서 그래프로 보인 pp 반응의 조건이라면     정도 되어 온도가 증가하면 거의  으로 급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질문1]
   를 계산하는 (2) 식을 검증하라. 이때 반응에 관여하는 두 핵의 속도   와   에 대한 속도분포함수를 각각의 속도에 대해 적분하되 이들 적분을 다시 질량중심의 속도와 상대속도에 대한 적분으로 변환해서 정리해야 한다.
[질문2]
태양의 중심에서 일어나는 핵융합과정인 양성자-양성자 순환과정에서 pp 반응이 가장 느린 반응이므로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pp 반응에 관련된 여러 물리량들은 다음과 같다.            ,           ,                   ,                등이다. (a)            임을 확인하라. (b) 이 반응에 대한 가모브 피크  는 얼마인가? (c) 태양 중심의 구성물질에서 질량비로 1/2 이 양성자라고 할 때 주어진 로 부터  를 구하라. (d)   로 부터    를 구하라. 이때 은 반응의 환산질량을 이용해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e)   식은 동일한 원자핵이 관여하는 경우에는 로 바뀌어야 한다. 이 이유를 설명하라. 또한 이로부터   을 계산하라. (f)   은 단위체적, 단위시간 당 pp 반응이 일어나는 숫자이다. 한 반응이 일어나면 2개의 양성자가 사라지므로 그 수명은         으로 볼 수 있다. 이로부터 태양 내부의 양성자의 평균수명을 계산하라. (g) 이 반응에 대해   식에서의 가     임을 확인하라.
[질문3] CNO 순환과정에서의 관문은            이다. 이들 핵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를 구하라. 이러한 반응이           에서 일어난다고 할 때   와   식에서의 를 구하라.
_ 맥스웰 분포함수_ 질량중심_ 플라스마_ 환산질량_ 평균수명_ 양성자_ 온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