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면의 정보가 한 점에 기록되어 한 점만으로도 평면의 정보를 읽어낼 수 있다.
홀로그램은 그 특성상 비록 일부분이라도 물체에서 발생된 파면의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즉 물체를 기록한 홀로그램의 작은 조각만 가지고 있다해도 그 속을 들여다 보면 물체의 전모를 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홀로그램이 작아지면 시선을 이동할 여지는 덜 해져서 마치 좁은 창 틈이나 구멍으로 밖을 살펴보는 것처럼 여러 측면에서의 영상을 볼 수는 없다 하더라도 적어도 물체의 이차원적인 정보는 완벽하게 가지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홀로그램의 한 점이라도 그 점에서 볼 수 있는 물체의 표면 정보를 완전하게 기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물체가 3차원적으로 복잡하게 배열된 경우에는 홀로그램이 넓을수록 더 완전한 3차원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지만 물체가 문서나 도면처럼 평면적인 것이라면 홀로그램의 어느 지점에 기록된 정보도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기록된 홀로그램의 일부분에 먼지가 묻거나 훼손되어 있다해도 상을 재생하는 데는 거의 영향이 없다. 이러한 성질은 정보를 보관해야하는 기억소자, 즉 메모리로서는 바람직한 성질이 된다.
아래 그림은 푸리에변환 홀로그래피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의 원리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에서 비트 패턴(bit pattern)은 가로 세로 각 10개, 모두 100개의 격자 위에 투명한 부분과 불투명한 부분이 있다. 이는 기록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비트를 표시하고 있고 이의 회절상이 필름의 한 부분에 기록된다.
비트패턴을 바꾸어 주고 필름을 상하, 좌우로 스캔하여 다른 부분에 회절무늬를 기록하면 여러 장의 정보를 한 장의 필름에 기록할 수 있어 대용량의 정보의 저장이 가능해진다. 실제로 비트패턴의 가로 세로 격자의 수가 100, 100이라 하면 비트패턴 한 장에 10,000비트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 되고, 한편 필름도 마찬가지로 분할하여 기록한다면 10,000개의 비트패턴을 기록할 수 있어 결국 필름 한 장에 108비트의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graphic |
|
푸리에 변환 상의 기록_ 그림에서 비트패턴으로 표시한 필름에 간섭성이 좋은 평면파를 비추면 볼록렌즈의 작용에 의해 이의 푸리에 변환된 영상이 스크린에 맺혀지게 된다. 이때의 영상은 스크린의 격자형태의 일부분에 노출되어 상을 형성한다. 한편 새로운 비트패턴의 푸리에 변환된 영상은 스크린의 다른 격자에 순차적으로 기록된다.
|
한편 이렇게 기록된 필름에서부터 다시 데이터를 읽어 낼 때에는 아래 그림처럼 필름의 한 부위에 평면파를 비춘다. 필름의 회절무늬의 역푸리에 상인 원래의 비트패턴이 CCD 어레이에 비추어져서 원래의 데이터를 읽어 내게 된다.
graphic |
|
역푸리에 변환에 의한 영상의 재생_ 각각의 격자에 한 프레임의 비트패턴의 푸리에 변환상이 기록된 필름을 공학적으로 역푸리에 변환시켜 원래의 비트패턴을 재생해 낸다.
|
_ 역푸리에 변환_ 볼록렌즈_ 평면파_ 회절_ 격자_ 간섭_ 파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