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류가 흐르는 도선이 둘 있을 때 한 도선이 만드는 자기장에 의해 다른 도선이 자기력을 받는다. 이는 두 전하가 있을 때 한 전하가 전기장을 만들고, 이에 의해 전기력을 받는 과정과 비슷하다. 그러나 두 점전하의 전기력과는 달리 전류는 경로를 이루어 흘러야 하므로 그 표현이 경로적분을 포함하게 되어 계산이 복잡해진다. 만일 두 도선이 무한히 긴 직선이면서 서로 평행하다면 비교적 단순한 형태로 정리된다.
아래 그림처럼 거리 떨어진 두 평행도선 , 에 각각 전류  ,  가 흐른다면 는 도선 가 있는 모든 지점에 자기장  를 만들게 된다. 이에 따라 도선 는 일부분(길이 )은 다음의 로렌츠의 힘을 받는다. 이 힘은 도선을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데 만일 한 전류가 반대로 흐른다면 힘의 방향은 반대가 되어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다.
graphic |
|
두 평행도선 사이의 자기력_전류가 흐르는 두 평행 도선사이에는 한 도선이 만드는 자기장에 의해 다른 도선이 힘을 받는다. 그림처럼 전류가 같은 방향이면 인력이 작용하고, 반대로 전류가 다른 방향으로 흐르면 반발력이 작용한다.
|
두 평행도선 사이의 힘으로부터 SI 단위계의 기본단위중 하나인 암페어(A: ampere)를 정의하였다. 즉, 1m 떨어진 두 도선에 동일한 전류를 흘렸을 때 이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이 될 때의 전류를 1A로 정의한다. 이로부터 SI의 유도단위인 전하량 쿨롱(C: coulomb)은 1초동안 1A의 전류가 흐를때 통과한 총전하량으로 정의한다.
_ 전기장_ 전기력_ 전류_ 전하_ 쿨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