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jax.js
목록 (INDEX)
-
1/2파장판
-
1/4파장판 (사분파장판)
-
1차원 상자에 갇힌 물질파
-
1차원 이상기체
-
1차원 충돌
-
1차원 충돌의 모의실험
-
1차원 탄성충돌
-
1차원 파동
-
1차원 회절과 푸리에 변환
-
1차원에서의 파동방정식
-
1차원의 여러 퍼텐셜의 수치해석
-
2배진동
-
2차원 기체분자운동의 모의실험
-
2차원 상자에 갇힌 물질파
-
2차원 슈뢰딩거 파동방정식의 수치해석
-
2차원 자유공간의 물질파의 행동
-
2차원 조화진동
-
2차원 진동
-
2차원 충돌 모의실험
-
2차원 파동
-
2차원 파동묶음의 운동 모의실험
-
2차원 파동의 생성
-
2차원 회절과 푸리에 변환
-
2차이온화에너지
-
3배진동
-
3차 수차 (third order aberration)
-
3차원 기체분자운동의 모의실험
-
3차원 라플라스 방정식의 수치해석
-
3차원 라플라스 방정식의 수치해석 2
-
3차원 상자에 갇힌 파동묶음의 운동
-
3차원 조화진동자
-
3차원 중심력장의 문제
-
3차원 파동
-
3차원의 중심력장의 수치해석
-
3차원의 파동방정식
-
3체 문제
-
4개의 자연 방사성 계열
-
4차원 벡터 (four vector)
-
ABCD 행렬 (ABCD matrix)
-
ABCD 행렬법 (ABCD matrix method)
-
ADP
-
cgs-Gauss 단위계
-
CIE 색도
-
CIE 색도표
-
CIE 표준표색계 (CIE standard colorimetric system)
-
CMY 색모형
-
CNO 순환과정
-
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ation)
-
FFT (fast fourier transformation)
-
FFT 해석
-
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
-
GRIN 렌즈
-
GRIN 렌즈의 굴절에 대한 모의실험
-
g-인자 (g-factor)
-
HSV 색모형
-
IUPAC
-
jj 결합 (jj coupling)
-
K 포획 (K capture)
-
KD*P
-
KDP
-
LET (linear energy transfer)
-
LS 결합
-
LU분해법 (LU decomposition method)
-
n-형 반도체 (n-type semiconductor)
-
P-V 도표 (P-V diagram)
-
p-편광 (TM-파)
-
p-편광의 반사와 굴절
-
p-형 반도체 (p-type semiconductor)
-
Q 값 (Q value)
-
Q 값 (Q value)
-
Q 방정식 (Q equation)
-
Q 인수 (Q factor)
-
q 차원의 이상기체
-
RGB 색모형
-
RMS 속력
-
STN 액정 (super twisted nematic LC)
-
s-편광 (TE-파)
-
s-편광의 반사와 굴절
-
TEM 모드
-
TN 액정 (super twisted nematic LC)
-
WKB 근사법
-
XYZ 색대응함수
-
X선
-
X선 회절
-
X선관 (일명 쿨리지관이라고 한다)
-
x선편광
-
y선편광
-
가간섭성 (coherence)
-
가로 도플러 효과
-
가로공진 모드
-
가로방향 진동 모드
-
가로배율 (transverse magnification)
-
가모브 에너지 (Gamow energy)
-
가모브 (G. Gamow: 1904~1968)
-
가모브 인자 (Gamow factor)
-
가모브 피크 (Gamow peak)
-
가상입자 (virtual particle)
-
가시광선
-
가우스 렌즈공식 (Gaussian lens formula)
-
가우스 면 (gaussian surface)
-
가우스 법칙
-
가우스 법칙을 이용한 전기장의 계산
-
가우스 법칙의 미분 표현
-
가우스 법칙의 응용
-
가우스 빔
-
가우스 빔과 공진이론
-
가우스 빔과 광선행렬
-
가우스 빔의 그래프
-
가우스 빔의 집속
-
가우스 정리 (Gauss' theorem)
-
가우스 파동묶음
-
가이거-너톨 법칙 (Geiger-Nuttall law)
-
가청한계 (threshold of hearing)
-
각막
-
각배율 (angular magnification)
-
각운동량 양자화의 개념
-
각운동량 합성법
-
각운동량 합성법의 예
-
각운동량 합성법의 해석
-
각운동량의 양자화
-
각진동수
-
간상체
-
간섭 (interference)
-
간섭과 위상자
-
간섭과 회절
-
간섭무늬
-
간섭에서 파동의 합성
-
간섭의 해석
-
갈래 붕괴
-
갈래비 (branching ratio)
-
갈릴레이 변환 (Galilean transformation)
-
갈릴레이의 상대성 원리
-
감마붕괴
-
감마붕괴의 고전론
-
감마붕괴의 선택규칙
-
감마붕괴의 양자론
-
감마붕괴의 에너지
-
감마선 (gamma ray)
-
감마선과 물질의 상호작용
-
감산혼합
-
감속재 (moderator)
-
감쇠계수
-
감쇠력
-
감쇠력과 감쇠진동
-
감쇠조화진동
-
감쇠조화진동의 해석
-
감쇠진동 (damped oscillation)
-
감쇠진동 운동분석 모의실험
-
강입자 (hadron)
-
강제진동
-
강제진동의 모의실험
-
강제진동의 운동 해석
-
강한상호작용 (strong interaction)
-
같은 진동수의 두 파동의 중첩
-
개구수 (numerical aperture)
-
거대쌍극자공명 (giant dipole resonance)
-
거듭되는 핵변환
-
거머 (L. H. Germer)
-
거울
-
거울 사이에 갇힌 광선
-
검광판
-
검전기
-
겉보기 모양 모의실험
-
게를라흐 (W. Gerlach)
-
게이뤼삭 (Gay-Lussac)
-
게이뤼삭의 법칙 (Gay-Lussac's law)
-
게인 스위치
-
격자 (lattice)
-
격자변수 (lattice parameter)
-
격자에서의 양자상태
-
결맞는 상태 (coherent state)
-
결상의 원리
-
결정
-
결정구조
-
결정에서의 빛의 전파
-
결정운동량 (crystal momentum)
-
결정운동량과 유효질량
-
결정의 상태밀도
-
결정학 (crystallography)
-
겹친상태의 중첩
-
겹침수 (multiplicity)
-
경계에서의 복굴절
-
경계에서의 파동의 반사
-
경계에서의 파동의 반사와 투과
-
경계조건
-
경사각 (azimuth)
-
경사인자 (inclination factor)
-
경통길이 (tube length)
-
계산표를 이용한 라플라스 방정식의 수치해석
-
계상태 (system state)
-
고리에 갇힌 물질파
-
고반사 박막
-
고위 신기루 (superior mirage)
-
고유길이 (proper length)
-
고유반도체 (intrinsic semiconductor)
-
고유반도체의 도전특성
-
고유방정식 (eigen equation)
-
고유시간 (proper time)
-
고유이온화도 (specific ionization)
-
고유진동수
-
고유질량 (proper mass)
-
고유파동
-
고유함수 (eigenfunction)
-
고윳값 (eigenvalue)
-
고저파 투과 필터 (low-pass filter)
-
고전 분포함수
-
고전적 극한 (classical limit)
-
고전적 도플러 효과
-
고주파 투과 필터 (high-pass filter)
-
고체 (solid)
-
고체물리학 (solid state physics)
-
고체의 비열
-
고체의 에너지띠
-
고체의 형성
-
고통한계 (threshold of pain)
-
공간주기 (spatial period)
-
공간주파수 (spatial frequency)
-
공간진동수 (spatial frequency)
-
공간필터 (spatial filter)
-
공동 속 모드밀도
-
공동 속의 전자기파
-
공동복사
-
공명
-
공명과 파국
-
공명의 양상
-
공유결합
-
공유결합 결정
-
공유결합 모의실험
-
공진기 내의 가우스 빔
-
공진기 모의실험
-
공초점 거리 (confocal length)
-
과냉각 (supercooled)
-
과다감쇠 (overdamping)
-
과도운동 (transient overshoot)
-
관악기
-
관의 공명
-
광경로 (optical path length: OPL)
-
광경로길이 (optical path length; OPL)
-
광경로차 (optical path difference: OPD)
-
광고립장치 (optical isolator)
-
광량자와 레이저
-
광변조장치 (optical modulator)
-
광선
-
광선과 빛의 전파
-
광선속도 (ray velocity)
-
광선속도 표면
-
광선의 진행
-
광선의 행동
-
광선추적 (ray trace)
-
광선추적법 (ray tracing)
-
광선축 (ray axis)
-
광선행렬
-
광선행렬법 (ray matrix method)
-
광섬유
-
광섬유의 원리에 대한 모의실험
-
광속불변의 원리
-
광심
-
광양자설
-
광양자와 레이저
-
광자기기록장치
-
광자의 질량
-
광전효과
-
광축 (optic axis)
-
광축 (optical axis)
-
광축의 성질
-
광탄성
-
광탄성 모의실험
-
광펌핑 (optical pumping)
-
광학기구와 분해능
-
광학기구의 수차
-
광학기구의 조합과 광선행렬
-
광행차
-
광활성
-
광활성의 이론
-
광회전능 (optical rotatory power)
-
괴퍼드-메이어 (M. Goeppert-Mayer, 1906~1972)
-
교환가능 (commutable)
-
교환자
-
구 바깥의 구면
-
구결면 (sagittal plane)
-
구리족
-
구면거울에서의 빛의 반사
-
구면거울의 모의실험
-
구면경계에서의 빛의 굴절
-
구면경계에서의 파면과 광선 모의실험
-
구면경계와 렌즈
-
구면수차
-
구면조화함수 (spherical harmonics)
-
구면좌표계 (spherical coordinate system)
-
구면파
-
구면파의 기록과 재생
-
구분가능한 입자 (distinguishable particle)
-
구분불가능한 입자 (indistinguishable particle)
-
구역판
-
구형 팽이 (spherical top)
-
국제순수응용화학연맹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
국제열핵융합실험로 (ITER,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
군굴절률 (group index of refraction)
-
군속도 (group velocity)
-
굴절과 반사의 법칙
-
굴절능 (dioptric power)
-
굴절률 (refractive index)
-
굴절망원경
-
굴절법칙의 작도법
-
굴절에 대한 모의실험
-
굴절의 법칙
-
궤도 g-인자 (orbit g-factor)
-
궤도각운동량 (orbital angular momentum)
-
궤도양자수 (orbital quantum number)
-
규격화 (normalization)
-
그레이 (Gy, gray)
-
그레이엄의 법칙 (Graham's law)
-
극각 (polar angle)
-
극성분자
-
근시 (myopia)
-
근시와 원시
-
근점 (near point)
-
근접장 (near-field)
-
근축광선 (paraxial ray)
-
글루온 (gluon)
-
금속결합 결정
-
금속에서의 전자기파
-
금속의 결정
-
금속탐지기
-
금지띠 (forbidden band)
-
금지전이 (forbidden transition)
-
기댓값
-
기댓값의 변화
-
기름막, 비누막의 간섭
-
기본진동
-
기전력
-
기체 상 (gas phase)
-
기체상수 (universal gas constant)
-
기체의 분자운동
-
기체의 속도분포
-
기체의 압력
-
기타 광학기구
-
기하광학
-
기하광학에서 부호의 약속
-
기화 (vaporization)
-
길이가 짧아진다!
-
길이수축
-
길이수축과 겉보기 모양
-
길이수축의 해석
-
길이의 측정
-
껍질 (shell)
-
껍질모형 (shell model)
-
꼬인 네마틱 액정 (TN 액정, twisted nematic LC)
-
꼬인 네마틱 액정 모의실험
-
끓는점 (boiling point)
-
나선성 불순물 (chiral dopant)
-
내부반사
-
내부에너지
-
내부에너지와 열
-
내부전이원소 (inner transition element)
-
내부제동복사 (inner bremsstrahlung)
-
네마틱 액정 (nematic LC)
-
넵투늄 계열 (neptunium series)
-
노안 (aged eye)
-
눈
-
눈의 구조
-
눈의 적응 (accommodation of eye)
-
눈의 착시
-
뉴턴 링
-
뉴턴식 반사망원경
-
뉴턴식 반사망원경의 원리를 알아보는 모의실험
-
뉴턴역학과 상대론적 역학
-
뉴턴의 렌즈공식 (Newton's lens formula)
-
느린축 (slow axis)
-
능동방식 (active matrix: AM)
-
다수운반자 (majority carrier)
-
다이내믹레인지 (dynamic range)
-
다이아몬드 구조 (diamond structure)
-
다전자원자의 전자배열
-
다중 간섭
-
다중광속 간섭
-
다중슬릿 간섭
-
다중슬릿 회절
-
다층박막의 간섭
-
다층박막의 이론
-
단사결정계 (monoclinic system)
-
단색수차 (monochromatic aberration)
-
단색표기법
-
단순입방결정 (simple cubic: SC)
-
단순입방계 (simple cubic system: cubic SC)
-
단열불변의 원리 (adiabatic invariant)
-
단위세포 (unit cell)
-
단일슬릿 회절
-
단일슬릿 회절 해석
-
단일슬릿 회절의 모의실험
-
단진자
-
단축성 결정
-
단축성 결정들
-
단축성 물질
-
단축성 물질에서의 복굴절
-
단축성 양성
-
단축성 음성
-
당구의 모의실험
-
대기의 법칙
-
대물렌즈 (objective)
-
대안렌즈 (접안렌즈)
-
대응원리
-
대전
-
대정준앙상블 (grand canonical ensemble)
-
대체전기장 (electric displacement)
-
대체전류
-
대칭 굽히기 (symmetric bending)
-
대칭 뻗기 (symmetric stretching)
-
대칭 팽이 (symmetric top)
-
데니스 게이버 (Dennis Gaber)
-
데바이 (P. Debye)
-
데바이 온도 (Debye temperature)
-
데바이의 T 3승 법칙 (Debye T3 raw)
-
데바이의 비열이론
-
데시벨 (decibel)
-
데이비슨 (C. J. Davisson)
-
델타선 (delta ray)
-
도립실상 (invert real image)
-
도브 프리즘 (Dove prism)
-
도선격자 편광판
-
도체
-
도체와 부도체
-
도플러 (J. C. Doppler)
-
도플러 확장 (doppler broadening)
-
도플러 효과
-
도플러 효과 - 관측자가 운동하는 경우
-
도플러 효과 - 파원이 운동하는 경우
-
도플러 효과에 대한 모의실험 1
-
도플러 효과에 대한 모의실험 2
-
도핑 (doping)
-
도핑된 반도체
-
돌턴의 부분압력 법칙 (Dalton's law of partial pressure)
-
동공함수 (pupil function)
-
동시성
-
동위원소 (isotope)
-
동위원소의 생성과 붕괴
-
동작범위
-
동중원소 (isobar)
-
동중원소의 질량 포물선
-
두 렌즈의 조합
-
두 렌즈의 조합에 대한 광선과 파면 모의실험
-
두 렌즈의 조합에 대한 모의실험
-
두 입자가 결합된 조화진동자 - 구분가능한 입자
-
두 입자가 결합된 조화진동자 - 구분불가능한 입자
-
두 파동의 간섭
-
두 파동의 합성
-
두 평행도선 사이의 자기력
-
두 핵자의 결합상태
-
두꺼운 렌즈
-
두꺼운 렌즈의 굴절에 대한 모의실험
-
두꺼운 렌즈의 전달행렬
-
두꺼운 렌즈의 조합
-
두꺼운 홀로그램 (립만 홀로그램)
-
둘째 브릴루앙 영역 (second Brillouin zone)
-
뒬롱-프티 법칙 (Dulong-Petit law)
-
드브로이 (L. de Broglie: 1892~1987)
-
드브로이의 물질파
-
들뜬상태 (excited state)
-
등가선량 (equivalent dose)
-
등가속운동
-
등가원리
-
등고면 (isosurface)
-
등방성 물질
-
등압 몰비열 (constant-pressure molar specific heat)
-
등온선 (isotherm)
-
등적 몰비열 (constant-volume molar specific heat)
-
등전위
-
등전위면
-
등전위선
-
디랙 (P. A. M. Dirac, 1902-1984)
-
디옵터 (diopter)
-
디지털 푸리에 변환
-
딸핵 (daughter nuclide)
-
띠틈 (band gap)
-
라게르 방정식
-
라게르 연관다항식 (associated Laguerre polynomial)
-
라모 (J. J. Larmor)
-
라모 공식 (Larmor formula)
-
라플라스 방정식
-
라플라스 방정식의 성질
-
라플라스 방정식의 수치해석
-
라플라스 방정식의 수치해석 2
-
라플라스 연산자
-
러더퍼드 (E. Rutherford: 1871~1973)
-
러더퍼드 원자모형의 문제점
-
러더퍼드의 산란 공식
-
러더퍼드의 산란 실험
-
러더퍼드의 원자모형
-
레이스 (E.Leith)
-
레이저
-
레이저 공진
-
레이저 공진기
-
레이저 매질
-
레이저 발진
-
레이저의 원리
-
레이저의 특징
-
레일리 (Lord Rayleigh)
-
레일리 기준 (Rayleigh's criterion)
-
레일리 범위 (Rayleigh range)
-
레일리-진스의 공식
-
레일리-진스의 이론
-
렌즈에서의 빛의 굴절
-
렌즈에서의 파면과 광선 모의실험
-
렌즈의 결상
-
렌즈의 결상에 대한 모의실험
-
렌즈의 배율
-
렌즈의 색수차 모의실험
-
렌즈의 수차 모의실험
-
렌즈의 제작자 공식 (lens maker's formular)
-
렌즈의 조합
-
렌츠의 법칙
-
렌티쿨러 렌즈
-
로렌츠 변환
-
로렌츠 분포 (Lorentzian distribution)
-
로렌츠 선폭함수 (Lorentz lineshape function)
-
로렌츠 선폭확대
-
로렌츠 인수
-
로렌츠의 힘의 법칙
-
로손의 기준
-
뢴트게늄 (Rg)
-
뢴트겐 (W. C. Roentgen, 1845-1923)
-
루머 (O. Lummer)
-
루비 (ruby)
-
루비 레이저
-
뤼드베리 상수 (Rydberg constant)
-
뤼드베리 에너지 단위 (Rydberg unit of energy)
-
르나드-존스 퍼텐셜 (Lennard-Jones potential)
-
리사주 곡선 (Lissajous curve)
-
리사주 운동 (Lissajous motion)
-
리사주 운동의 모의실험
-
리에나르 (A. Lienard)
-
리텐하우스 (D. Rittenhouse)
-
립만 홀로그램
-
마델룽 규칙 (Madelung rule)
-
마델룽 상수 (Madelung constant)
-
마디
-
마디선
-
마디점 (nodal point)
-
마법 겹침 (doubly magic)
-
마법수 (magic number)
-
마이컬슨 (A. A. Michelson)
-
마이컬슨 간섭계
-
마이컬슨-몰리의 실험
-
마이트너 (Lise Meitner, 1878-1968)
-
마찰전기
-
마하수 (Mach number)
-
막의 파동 모의실험
-
말루스의 법칙
-
망원경
-
망원경의 배율
-
매질에서의 빛의 증폭
-
맥놀이
-
맥스웰 (James Clerk Maxwell: 1831~1879)
-
맥스웰 방정식
-
맥스웰 분포함수
-
맥스웰 작도 (Maxwell construction)
-
맥스웰-볼츠만 분포함수
-
메이먼 (Theodore H. Maiman)
-
메이저
-
멘델레예프 (D. Mendeleev: 1834~1907)
-
면심입방결정 (face-centered cubic crystal: FCC)
-
면심입방계 (face-centered cubic system: cubic FCC)
-
면편광기 (plane polariscope)
-
명시거리 (visual range)
-
모긴 상수 (Mauguin parameter)
-
모드 로킹
-
모드밀도
-
모세관 현상
-
모스 퍼텐셜
-
몰리 (E. W. Morley)
-
몰비열
-
몰질량상수 (molar mass constant)
-
무게중심 (center of gravity)
-
무아레 간섭
-
무아레 무늬
-
무아레 무늬를 이용한 여러 구면파의 간섭
-
무아레 무늬의 활용
-
무족화
-
무지개
-
무지개의 모의실험
-
무지개의 원리
-
무편광 (unpolarized)
-
무편광빛 (편광되지 않은
빛: unpolarized light)
-
문턱에너지 (threshold energy)
-
물결통 실험의 모의실험
-
물매상수 (gradient constant)
-
물방울 모형
-
물방울의 공명
-
물질과 대전
-
물질에서의 맥스웰 방정식
-
물질에서의 방사선의 감쇠
-
물질의 상태변화
-
물질파
-
물질파 파동묶음의 성질
-
물질파의 고전적 극한
-
물질파의 분산관계
-
물질파의 운동
-
물질파의 정상파
-
물질파의 정상파 상태
-
물질파의 파동방정식
-
물질파의 파동함수
-
물체초점
-
물체초점거리
-
미디
-
미분단면적 (differential cross section)
-
미세구조 ( fine structure)
-
미세구조상수 (fine structure constant)
-
미소 렌즈 배열
-
미소변위 측정
-
미약감쇠 (underdamping)
-
미지의 방사선
-
밀도반전
-
밀리칸 기름방울 실험
-
바닥상태 (ground state)
-
박막에서의 반사와 간섭
-
박막의 간섭
-
반감기 (half life)
-
반감두께 (half thickness)
-
반값온폭
-
반도체
-
반도체 레이저
-
반도체 물리학
-
반물질 (antimatter)
-
반사 프리즘
-
반사계수 (reflection coefficient)
-
반사굴절망원경
-
반사망원경
-
반사방지 박막
-
반사와 투과
-
반사와 투과파의 해석
-
반사율 (reflectance)
-
반사의 법칙
-
반사파의 위상변화
-
반사형 홀로그래피
-
반사형 홀로그래피 촬영장치
-
반올림 오차 (round-off error)
-
반입자
-
반전성 (even parity)
-
반전자 (anti-electron)
-
반파장판 (half-wave plate)
-
받개 (acceptor)
-
발머 (J. J. Balmer)
-
발머 계열
-
발산정리
-
발열반응 (exothermic reaction)
-
발전기
-
방사능
-
방사능 연대측정법 (radiometric dating)
-
방사선 (radioactive ray, radiation)
-
방사선량 (radiation dose)
-
방사성 계열
-
방사성 동위원소 (radioactive isotope)
-
방사성 붕괴
-
방사성 평형
-
방사성붕괴 (방사성감쇠: radioactive decay)
-
방사성붕괴법칙
-
방사성탄소 연대측정법
-
방위각 (azimuthal angle)
-
방출스펙트럼
-
방해석
-
방향자 (director)
-
배
-
배위수 (coordination number)
-
배율 (transverse magnification)
-
배타원리
-
백금족
-
백색왜성 (white dwarf; 백색잔별)
-
백색잡음 (white noise)
-
백열등
-
밴 알렌복사대 (Van Allen radiation belt)
-
버금껍질 (subshell)
-
버키볼 (buckyball: C60, 버크민스터풀러렌)
-
번개
-
벌레와 리벳의 역설 (bug-rivet paradox)
-
베르데 상수 (Verdet constant)
-
베버-페흐너의 법칙
-
베셀 함수 (Bessel function)
-
베이트먼 방정식 (Bateman equation)
-
베크렐 (Bq, becquerel)
-
베타붕괴
-
베타붕괴의 에너지
-
베타붕괴의 확률
-
베타선과 물질의 상호작용
-
베테-블로흐 공식 (Bethe-Bloch Formula)
-
변압기
-
변형력광학상수 (stress-optic coefficient)
-
보강간섭
-
보른 (M. Born)
-
보색 (complement color)
-
보손 (boson)
-
보스 (S. N. Bose: 1894~1974)
-
보스-아인슈타인 분포함수 (Bose-Einstein distrubution function: BE 분포함수)
-
보스-아인슈타인 통계 (Bose-Einstein statice)
-
보어 (Niels H. D. Bohr: 1885~1962)
-
보어 마그네톤 (Bohr magneton)
-
보어 반지름 (Bohr radius)
-
보어의 가설 재해석
-
보어의 가설과 원자모형
-
보어의 원자모형
-
보어의 이론의 한계
-
보이그 필터 (Voigt filter)
-
보이그 효과 (Voigt effect)
-
보일 (Robert Boyle)
-
보일-샤를의 법칙
-
보일-샤를의 법칙 모의실험
-
보일-샤를의 법칙 모의실험2
-
보일-샤를의 법칙 모의실험3
-
보일의 법칙 (Boyle's law)
-
보조최댓값 (subsidiary maxima)
-
보편기체상수 (universal gas constant)
-
복굴절
-
복굴절의 모의실험
-
복굴절체
-
복사온도계
-
복사율 (radiancy)
-
복사전이의 규칙
-
복소수
-
복소수의 크기 (norm)
-
복소진폭
-
복소켤레
-
복소파동함수
-
복소평면
-
복소표현 (complex number representation)
-
복원력 (되돌림힘, force of restoration)
-
복합핵 (compound nucleus)
-
볼록거울
-
볼록렌즈
-
볼록렌즈의 결상에 대한 모의실험
-
볼록렌즈의 렌즈공식
-
볼츠만 (Ludwig Boltzmann: 1844~1906)
-
볼츠만 상수
-
볼츠만 인자
-
부도체
-
부분압력 (분압, partial pressure)
-
부분편광 (partially polarized)
-
부분편광빛 (partially polarized light)
-
분광기
-
분광복사율 (spectral radiancy)
-
분광에너지밀도 함수
-
분광학 (spectroscopy)
-
분극
-
분리된 파동묶음의 운동
-
분산 (dispersion)
-
분산 프리즘
-
분산관계 (dispersion relation)
-
분산관계와 군속도
-
분자 에너지준위
-
분자결합
-
분자의 스펙트럼
-
분자의 여러 진동모드
-
분포함수의 비교
-
분해능
-
분해조건과 레일리 기준
-
분해한계각
-
불변량 (invariant)
-
불협화음 (discord)
-
불확정성원리
-
불확정성원리의 응용
-
불활성 기체 (inert gas)
-
붕괴상수 (decay constant)
-
브라베 (A. Bravais)
-
브라베 격자 (Bravais lattice)
-
브라운 (Robert Brown)
-
브라운 운동
-
브라이트 위그너 공식 (Breit-Wigner's formula)
-
브루스터 (Sir D. Brewster)
-
브루스터 각 (Brewster's angle)
-
브릴루앙 영역 (first Brillouin zone)
-
블랙홀 (black hole)
-
블로흐 (F. Bloch)
-
블로흐 방정식 (Bloch equation)
-
블로흐 정리 (Bloch theorem)
-
블로흐 정리에 의한 크로니그-페니 모형의 풀이
-
블로흐 정리의 증명
-
블로흐 함수 (Bloch function)
-
비가역반응
-
비구면렌즈 (aspherics lens)
-
비대칭 뻗기 (antisymmetric stretching)
-
비대칭 팽이 (asymmetric top)
-
비방사능 (specific radioactivity)
-
비오-사바르의 법칙
-
비저항 (resitivity)
-
비점수차
-
비정상 제이만 효과 (anomalous Zeeman effect)
-
비정상분산 (anomalous dispersion)
-
비정상상태
-
비조화파 (anharmonic wave)
-
비축면광선 (skew ray)
-
비탄성충돌
-
빈의 변위법칙 (Wien's displacement law)
-
빔 (beam, 광속)
-
빔분리기 (beam splitter)
-
빔의 진행 모의실험
-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
-
빛과 색
-
빛과 중력
-
빛의 간섭
-
빛의 공명상태
-
빛의 도플러 효과
-
빛의 분산
-
빛의 분해
-
빛의 삼원색
-
빛의 속력과 에테르
-
빛의 속성
-
빛의 스펙트럼
-
빛의 이중성
-
빛의 입자론과 파동론
-
빛의 전파
-
빛의 증폭
-
빛의 파동과 에너지
-
빛의 편광
-
빛의 흡수와 방출
-
빠른 푸리에 변환
-
빠른축 (fast axis)
-
사고실험 (thought experiment, 독일어 gedankenexperiment)
-
사극자 모드 (quadrupole mode)
-
사방결정계 (orthorhombic system)
-
사분파장판
-
산란과 편광
-
산란단면적 (scattering cross section)
-
산란된 빛의 편광
-
산화알루미늄 (aluminium oxide; Al2O3)
-
살람 (A. Salam)
-
삼방결정계 (trigonal system)
-
삼사결정계 (triclinic system)
-
삼원색
-
삼중수소 (tritium)
-
삼중알파과정
-
삼중점 (triple point)
-
삼차색
-
상
-
상대굴절률 (relative refractive index)
-
상대론적 역학
-
상대론적 운동량
-
상대론적 운동법칙
-
상대론적 운동에너지
-
상대론적 질량
-
상대론적양자역학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
상대성이론의 역설
-
상도표
-
상쇄간섭
-
상의 왜곡
-
상의 왜곡에 대한 모의실험
-
상의 작도법
-
상자 속의 입자
-
상자 속의 정상파의 상태밀도
-
상초점
-
상초점거리
-
상태밀도
-
상태방정식 (equation of state)
-
상호인덕턴스
-
색
-
색대역
-
색대응함수 (color matching function)
-
색도 (chromaticity)
-
색모형
-
색변환 관련 자료
-
색수차
-
색온도
-
색위상지연판 (chromatic retarder)
-
색의 명명
-
색의 삼원색
-
색의 인식
-
색의 측정
-
색의 혼합과 보색
-
색입체
-
색중심 (color center)
-
색지움
-
색채2법칙
-
색채구 (Die Farben Kugel)
-
색채나무
-
색채법칙
-
색채법칙과 색대역
-
생존곡선 (survivorship curve)
-
샤를 (J. Charles)
-
샤를의 법칙 (Charle's law)
-
샤크-하트만 센서 (Shack-Hartmann sensor)
-
선 전하 분포
-
선속분할기 (beam splitter)
-
선운동량 (linear momentum)
-
선택규칙 (selection rule)
-
선택규칙과 스펙트럼
-
선편광
-
선형 분자 (linear molecule)
-
선형결합 (linear combination)
-
선형성과 중첩성
-
섬아연광구조 (Zincblende structure)
-
섬유광학
-
섭동법 (perturbation method)
-
섭동의 의한 상태전이
-
섭동이론
-
섭동항 (perturbation term)
-
세 렌즈의 조합에 대한 모의실험
-
세계선 (world line)
-
세로방향 진동 모드
-
세로배율 (longitudinal magnification)
-
세차운동의 운동방정식
-
소광율 (extinction ratio)
-
소리의 크기
-
소멸간섭 (상쇄간섭)
-
소멸파
-
소수운반자 (minority carrier)
-
속도의 변환
-
솔레노이드
-
수동방식 (passive matrix: PM)
-
수면파의 간섭
-
수소원자에서 결맞는 상태의 운동
-
수소원자에서 파동묶음의 운동
-
수소원자의 3차원 파동함수의 구조
-
수소원자의 고유함수
-
수소원자의 슈뢰딩거 방정식
-
수소원자의 스펙트럼
-
수소원자의 양자론
-
수소원자의 에너지 양자화
-
수소원자의 중첩된 상태
-
수소원자의 해
-
수소폭탄
-
수소폭탄의 변종들
-
수송현상
-
수양액
-
수정 (quartz)
-
수정체
-
수차
-
수차에 의한 회절
-
수차회절이론
-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
수치해석의 조건과 파동묶음
-
순도 (purity)
-
순도와 주파장
-
순바이어스 (forward bias: 순방향 바이어스)
-
순정률 (just intonation)
-
순정률과 평균율
-
숨쉬기 모드 (breathing mode)
-
슈뢰딩거 (E. Schrodinger: 1887~1961)
-
슈뢰딩거 방정식 (Schrodinger equation)
-
슈뢰딩거 방정식과 양자상태
-
슈뢰딩거 방정식의 구조와 해석
-
슈뢰딩거 방정식의 수치해석
-
슈뢰딩거 방정식의 수치해석에서의 단위계
-
슈뢰딩거 파동방정식
-
슈뢰딩거 파동방정식의 수치해석
-
슈바르츠실트 반지름 (Schwarzschild radius)
-
슈테른 (O. Stern)
-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
슈테판-볼츠만 법칙 (Stefan-Boltzmann law)
-
슈테판-볼츠만 상수 (Stefan-Boltzmann constant)
-
슈트라스만 (Fritz Strassmann)
-
스넬의 굴절법칙
-
스넬의 법칙
-
스멕틱 액정 (smectic LC)
-
스토크스 (G. G. Stokes)
-
스토크스 벡터 (Stokes vector)
-
스토크스의 정리 (Stokes' theorem)
-
스펙트로미터 (spectrometer)
-
스핀 (spin)
-
스핀-궤도 상호작용 (spin-orbit interaction, LS 결합)
-
슬릿 (slit: 실틈)
-
슬릿의 프레넬 회절
-
시간독립 섭동이론
-
시간에 무관한 슈뢰딩거 방정식
-
시간에 무관한 슈뢰딩거 방정식의 수치해석
-
시간의존 섭동이론
-
시간의존 섭동이론의 모의실험
-
시간의존 섭동이론의 모의실험 2
-
시간팽창
-
시계 맞추기
-
시계열 (time series)
-
시공간 간격
-
시공간 좌표
-
시공간 좌표와 로렌츠 변환
-
시공간연속체
-
시버트 (Sv, sievert)
-
신기루 (mirage)
-
신시사이저
-
실상 (real image)
-
실제 기체
-
실제 기체의 상태변화 모의실험
-
실제의 레이저
-
실제의 분자진동
-
실험실계 (laboratory coordinate frame)
-
심도
-
쌍극자 모드 (dipole mode)
-
쌍극자에 의한 전기장
-
쌍둥이 역설
-
쌍둥이 역설의 사고실험
-
쌍생성 (pair production)
-
쌍안경
-
쌍안경의 원리를 알아보는 모의실험
-
쌍축성 결정
-
쌍축성 물질
-
쌓음원리
-
아베 프리즘 (Abbe prism)
-
아베수 (Abbe number)
-
아보가드로 수 (Avogadro number)
-
아보가드로의 법칙 (Avogadro's law)
-
아이소스핀
-
아인슈타인 (A. Einstein)
-
아인슈타인의 가설
-
아인슈타인의 복사이론
-
악기
-
악티늄 계열 (actinium series)
-
안정된 핵
-
알짜힘 (→Fnet)
-
알칼리 금속 (alkali metal)
-
알칼리 토금속 (alkali earth metal)
-
알칼리 할라이드 (alkali halide)
-
알칼리족 (alkali group)
-
알파붕괴
-
알파붕괴의 양자역학적 해석
-
알파붕괴의 에너지
-
알파붕괴의 확률
-
알파입자와 물질의 상호작용
-
앙상블 (ensemble)
-
앙페르 법칙
-
앙페르 법칙의 응용
-
앙페르의 법칙
-
앞뒤로 운동하는 물체의 겉보기 모양
-
액정
-
액정의 전기-광학 효과
-
액정표시장치
-
액체
-
액체 상 (liquid phase)
-
액체의 형성
-
액화 (liquefaction)
-
약력 (전자기적상호작용과 약한상호작용이 통합된 단일이론)
-
약한상호작용
-
얇은 렌즈
-
얇은 렌즈 방정식 (thin lens equation)
-
양공 (hole)
-
양극 (anode)
-
양성자 (proton)
-
양성자-양성자 순환과정 (proton-proton cycle)
-
양이온
-
양자 (量子: quanta)
-
양자 분포함수
-
양자 카펫 (quantum carpet)
-
양자광학 (quantum optics)
-
양자색역학 (quantum chromodynamics: QCD)
-
양자수 (quantum number)
-
양자역학
-
양자장론 (quantum field theory)
-
양자적 재생 (quantum revival)
-
양자통계
-
양자통계의 응용
-
양자파동의 운동
-
양자파동의 운동 2
-
양자화 (quantized)
-
양전자 (positron)
-
양전자방출 (positron emission)
-
양전자방출과 전자포획
-
양전자방출단층촬영장치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
어미핵 (parent nuclide, mother nuclide)
-
에너지 너비
-
에너지 등분배법칙
-
에너지 등분배법칙의 증명
-
에너지 등분배의 모의실험
-
에너지 띠 이론
-
에너지 준위 (energy level)
-
에너지띠 이론
-
에너지띠간격 (band gap: 띠틈)
-
에너지띠와 전도성
-
에너지띠의 간극
-
에너지-시간 불확정성원리
-
에너지의 양자화
-
에르미트 연산자
-
에르미트-가우스 빔
-
에른페스트 정리 (Ehrenfest theorem)
-
에버네센트 파 (evanescent wave)
-
에어리 원판
-
에어리 함수 (Airy function)
-
에테르
-
여러 가지 레이저
-
여러 가지 무아레 무늬
-
여러 가지 충돌
-
여러 가지 파동
-
여러 가지 편광판
-
여러 가지 회절
-
여러 겹 간섭
-
여러 광학기구의 전달행렬
-
여러 다른 파동의 생성
-
여러 진동계
-
역바이어스 (reverse bias: 역방향 바이어스)
-
역베타붕괴
-
역푸리에 변환 (inverse Fourier transformation)
-
연결된 세 진동자의 운동해석
-
연결된 진동자
-
연결된 진동자 모의실험
-
연결된 진동자의 강제진동 모의실험
-
연금술 (alchemy)
-
연산자
-
연산자 방정식 (operator equation)
-
연속적인 굴절률 분포에서의 광선의 진행
-
연쇄반응
-
열손실과 기전력
-
열역학제1법칙
-
열역학제2법칙
-
열운동에 의한 도플러 효과
-
열저장체 (heat reservoir)
-
열중성자 (thremal neutron)
-
열평형화 (thermalization)
-
열핵 반응률
-
열핵반응 (thermonuclear reaction)
-
열핵융합
-
열핵폭탄 (thermonuclear weapon)
-
영 (Thomas Young: 1773-1829)
-
영구자석
-
영의 이중슬릿 간섭
-
영의 이중슬릿 간섭 실험
-
영점에너지 (zero point energy)
-
영-헬름홀츠 3원색설
-
옆으로 운동하는 물체의 겉보기 모양
-
오로라 (aurora, 극광)
-
오른원편광
-
오목거울
-
오목거울, 볼록거울의 결상
-
오목구면에서의 빛의 굴절
-
오목렌즈
-
오목렌즈의 결상
-
오목렌즈의 결상에 대한 모의실험
-
오토 한 (Otto Hahn)
-
온도
-
온도, 엔트로피, 볼츠만 인자
-
옴 (G. Ohm)
-
옴의 법칙
-
옴의 법칙 모의실험
-
옴의 법칙 모의실험2
-
와인버그 (S. Weinberg)
-
완전비탄성충돌
-
외부반사 (external reflection)
-
외부제동복사 (outer bremsstrahlung)
-
왼원편광
-
용수철과 훅의 법칙
-
용수철상수 (spring constant)
-
용수철의 에너지
-
우라늄 계열 (uranium series)
-
우라늄-납 연대측정법 (uranium-lead dating)
-
우선성 (dextrorotatory)
-
우주선 (cosmic ray)
-
우주팽창의 증거
-
우즈 색슨 퍼텐셜 (Woods-Saxon potential)
-
우즈-색슨 형태 (Woods-Saxon form)
-
우타원편광
-
운동량
-
운동량보존법칙 (law of conservation of momentum)
-
운동량의 정의
-
운동상수 (constant of motion)
-
운동의 관찰
-
운동제2법칙
-
운동질량
-
운동하는 시계
-
운동항량
-
원기둥 전류
-
원색 (primary colors)
-
원소들의 결정구조
-
원소설
-
원시 (hyperopia)
-
원운동, 진동, 파동의 관계
-
원운동과 조화진동
-
원자 모형
-
원자 스펙트럼
-
원자가띠 (valence band)
-
원자가전자 (valence electron)
-
원자력 발전
-
원자모형과 핵
-
원자반지름
-
원자반지름과 이온화에너지
-
원자에서 광자의 방출
-
원자의 전자기파 방출과 흡수
-
원자의 총각운동량
-
원자질량단위 (atomic mass unit: amu, u 혹은 Dalton: Da)
-
원자폭탄
-
원자폭탄의 위력
-
원점 (far point)
-
원통파
-
원편광
-
원편광기 (circular polariscope)
-
원형 고리의 양자상태
-
원형 도선의 자기장
-
원형 막의 정상파
-
원형 막의 정상파 해석
-
원형구멍 회절
-
원형구멍 회절 해석
-
위상
-
위상공간 (phase space)
-
위상속도 (phase velocity)
-
위상속도 표면 (곡선의 궤적)
-
위상자
-
위상자에 의한 단일슬릿 회절해석
-
위상지연값 (phase retardation)
-
위상지연판
-
위상지연판 모의실험
-
위상항 (phase term)
-
위치-운동량 불확정성원리
-
윌렌베크 (G. Uhlenbeck)
-
유도광학 효과
-
유도기전력
-
유도방출 (induced emission)
-
유도전류의 발생 모의실험
-
유도흡수 (induced absorption)
-
유동속도
-
유리체 (초자체)
-
유색잡음
-
유전체에서 빛의 전파
-
유전체에서 평면파
-
유체 (fluid)
-
유카와 (Hideki Yukawa: 1907~1981)
-
유카와 퍼텐셜 (Yukawa potential)
-
유효질량 (effective mass)
-
유효퍼텐셜 (effective potential)
-
육방결정계 (hexagonal system)
-
육방밀집결정 (hexagonal close-packed crystal: HCP)
-
은하송이(galactic cluster)
-
음극 (cathode)
-
음극선
-
음의 온도상태
-
음이온
-
음파
-
음파의 간섭
-
음파의 간섭 실험
-
음파의 속도
-
응집에너지 (cohesive energy)
-
이레네 퀴리 (Irene Curie)
-
이분법 (bisection method)
-
이산사인변환 (discrete sine transformation: DST)
-
이산형 슈뢰딩거 방정식의 풀이
-
이산화탄소 레이저
-
이산화탄소의 진동모드
-
이상광선 (e-광선: extraodinary ray)
-
이상굴절률 (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
-
이상기체
-
이상기체방정식
-
이상기체법칙
-
이상기체의 속력분포함수
-
이상기체의 통계역학적 해석
-
이색성 (dichroic)
-
이색성 결정 (dichroic crystal)
-
이온 (ion)
-
이온결합
-
이온결합 결정
-
이온결합 결정의 응집에너지
-
이온화에너지 (ionization energy)
-
이원자분자 (diatomic molecule)
-
이중슬릿 간섭
-
이중슬릿 간섭의 모의실험
-
이중슬릿 간섭의 해석
-
이중슬릿 회절
-
인공 전자기파의 발생
-
인덕턴스
-
일반상대성이론
-
일반상대성이론의 확인
-
일반적인 가우스 파동묶음
-
일반적인 각운동량의 양자화
-
일반적인 도플러 효과
-
일반적인 맥놀이
-
일반적인 분자의 회전에너지
-
일정편향 프리즘
-
일함수 (work function)
-
임계각
-
임계감쇠 (critical damping)
-
임계부피 (critical volume)
-
임계압력 (critical pressure)
-
임계온도 (critical temperature)
-
임계점 (critical point)
-
임계질량 (critical mass)
-
입방결정계 (cubic system)
-
입방황화아연구조 (cubic zinc sulfide structure)
-
입사면
-
입자계 (particle system)
-
입자계와 질량중심
-
입자계의 운동량
-
입자계의 운동량보존법칙
-
입자계의 운동법칙
-
자극방출 (stimulated emission)
-
자극흡수 (stimulated absorption)
-
자기 커 효과
-
자기광학 효과 (magneto-optic effect)
-
자기쌍극자모멘트 (magnetic dipole moment)
-
자기양자수 (magnetic quantum number)
-
자기장
-
자기장 세기 (magnetic field strength)
-
자기장에 대한 오른손 법칙
-
자기회전비율 (gyromagnetic ratio)
-
자발방출 (spontaneous emission)
-
자발방출과 유도방출
-
자연광
-
자연선폭 (natural width)
-
자오광선 (meridional ray)
-
자오면 (meridional plane)
-
자외선 파탄 (ultraviolet catastrophe)
-
자유공간에서의 물질파의 모의실험
-
자유공간의 임피던스 (impedance of free space)
-
자유단이 있는 줄의 공명
-
자유전자 (free electron)
-
자유전자 기체
-
자유진동
-
자체인덕턴스
-
장벽에서의 회절
-
저위 신기루 (inferior mirage)
-
저지능 (stopping power)
-
저지범위 (stopping range)
-
저항
-
적색편이 (red shift)
-
전기 쌍극자 근사 (electric dipole approximation)
-
전기 쌍극자 복사 (electric dipole radiation)
-
전기감수율 텐서 (electric susceptibility tensor)
-
전기광학 상수 (electro-optic constant)
-
전기광학 효과 (electro-optic effect)
-
전기력
-
전기력선
-
전기석 (tourmaline)
-
전기선속 (전기장 다발)
-
전기쌍극자
-
전기쌍극자 복사
-
전기쌍극자모멘트 (electric dipole moment)
-
전기용량
-
전기장
-
전기장 속의 전하
-
전기장과 퍼텐셜에너지
-
전기장에서 쌍극자가 받는 힘
-
전기전도도 (electrical conductivity)
-
전달행렬 (transfer matrix)
-
전도띠 (conduction band)
-
전동기
-
전류
-
전류밀도
-
전반사
-
전방초점거리 (front focal length; FFL)
-
전위
-
전위와 전기장의 미분관계
-
전위의 수치해석
-
전이 (transition)
-
전이원소 (transition element)
-
전이행렬 (transition matrix)
-
전자기유도
-
전자기파
-
전자기파 복사
-
전자기파 스펙트럼
-
전자기파의 증폭
-
전자배열 (electron configuration)
-
전자배열과 주기율표
-
전자의 분포와 결합
-
전자의 스핀
-
전자의 운동
-
전자의 확률분포
-
전자의 회절과 에너지띠
-
전자친화도 (electron affinity)
-
전자포획 (electron capture)
-
전자회절
-
전파장판 (full-wave plate)
-
전하
-
전하 밀도
-
전하량보존법칙
-
전하의 양자화
-
전형원소 (typical element)
-
절연체
-
점대칭 전하분포
-
점쌍극자
-
점전하에 의한 전기장
-
점전하의 선속
-
접안렌즈 (eyepiece; 대안렌즈)
-
접촉전위 (contact potential 혹은 Volta potential)
-
접합 다이오드
-
정립허상 (erect virtual image)
-
정방결정계 (tetragonal system)
-
정상 검정 모드 (normally black mode: NB mode)
-
정상 하양 모드 (normally white mode: NW mode)
-
정상광선 (o-광선: ordinary ray)
-
정상굴절률 (ordinary refractive index)
-
정상분산 (normal dispersion)
-
정상상태
-
정상상태 가설
-
정상상태 수치해석의 제한점과 개선책
-
정상상태의 수치해석
-
정상상태의 수치해석 기법
-
정상상태의 수치해석 전략
-
정상상태의 수치해석의 단위계
-
정상상태의 일반적인 성질
-
정상상태의 중첩
-
정상상태의 풀이 방법
-
정상상태의 해석
-
정상파
-
정상파와 공명
-
정지질량 (rest mass)
-
정지질량에너지
-
제1주요면 (first principal plane)
-
제1주요점 (H1)
-
제1초점거리
-
제2주요면 (second principal plane)
-
제2주요점 (H2)
-
제2초점거리
-
제동복사 (制動輻射: bremsstrahlung)
-
제르니케 (F. Zernike: 1888~1966)
-
제르니케 다항식 (Zernike polynomial)
-
제르니케 함수
-
제어봉 (control rod)
-
제이만 효과
-
젠센 (J. H. D. Jensen)
-
조리개
-
조리개의 역할에 대한 모의실험
-
조사선량 (exposure dose)
-
조화력을 받는 2차원 파동묶음의 운동
-
조화력을 받는 3차원 파동묶음의 운동
-
조화력을 받는 파동묶음의 운동
-
조화진동
-
조화진동자 (harmonic oscillator)
-
조화진동자의 양자론
-
조화진동자의 양자상태
-
조화파
-
조화파동의 합성 모의실험
-
조화파의 모의실험
-
조화파의 표현
-
조화파의 합성
-
족 (group)
-
존스 (R. C. Jones)
-
존스 벡터 (Jones vector)
-
존스 벡터 표현
-
존스 행렬
-
종파 (세로파동)
-
종파와 횡파
-
좌선성 (levorotatory)
-
좌타원편광
-
좌표계와 좌표변환
-
좌표변환 (coordinate transformation)
-
죤슨 (C. Jonsson)
-
주개 (donor)
-
주개준위 (donor level: donor impurity level)
-
주기
-
주기성이 일부 깨어진 격자 퍼텐셜
-
주기율표
-
주기율표와 원자의 분류
-
주기적인 광학계
-
주기적인 다층박막의 모의실험
-
주기적인 퍼텐셜에서의 양자상태
-
주양자수 (principal quantum number)
-
주요면 (principal plane)
-
주요점 (principal point)
-
주요최댓값 (principal maxima)
-
주축 (principal axis)
-
준경험적 질량 공식 (semiempirical mass formula)
-
줄의 공명
-
줄의 파동 모의실험
-
줄의 파동방정식
-
줄의 파동에 대한 종합실험
-
중간자
-
중력 적색이동
-
중력렌즈 (gravitational lens)
-
중력파 (중력장의 요동과는 다른)
-
중성미자 (neutrino)
-
중성자 (neutron)
-
중성자별
-
중성자의 감속
-
중성자탄
-
중수소 (heavy hydrogen, deuterium)
-
중시계 (mesoscopic system)
-
중양성자
-
중입자 (baryon: 重粒子)
-
중첩과 편광
-
중첩된 직사각형 정상상태 모의실험
-
중첩에 의한 편광의 형성 관찰
-
중첩의 원리
-
증발
-
증발열 (heat of evaporation)
-
증식로
-
증폭율 상수 (gain constant)
-
지구 자기장
-
지면에서 되튀는 물체의 운동
-
지질학적 연대측정법
-
직교곡선좌표계 (orthogonal curvilinear coordinate system)
-
직류회로
-
직사각형구멍의 프레넬 회절
-
직사각형구멍의 프레넬 회절 해석
-
직사각형구멍의 회절
-
진동
-
진동 스펙트럼
-
진동수
-
진동수 가설
-
진동수와 음높이
-
진동에너지
-
진동에너지준위
-
진동의 양상
-
진동의 전파
-
진동의 전파속도
-
진동의 측정
-
진동자
-
진동자계의 운동 해석
-
진스 (J. Jeans)
-
진폭
-
진폭분리법
-
질량감쇠계수 (mass attenuation coefficient)
-
질량분석법 (mass spectroscopy)
-
질량-에너지 동등성
-
질량저지능 (mass stopping power)
-
질량중심 (center of mass: COM)
-
질량중심계 (center of mass frame; COM)
-
질점 (material point)
-
집단 핵모형
-
짝반전성 (even parity)
-
차고와 막대기의 역설
-
차단 필터 (cutoff filter)
-
착시
-
창함수 (aperture function)
-
채드윅 (J. Chadwick: 1891-1974)
-
채움율 (atomic packing factor: APF)
-
천체물리적 S 인자 (astrophysical S factor)
-
첫째 브릴루앙 영역 (first Brillouin zone)
-
청색편이 (blue shift)
-
체렌코프 (P. Cerenkov)
-
체렌코프 검출기 (Cerenkov detector)
-
체렌코프 복사
-
체심입방결정 (body-centered cubic crystal: BCC)
-
체심입방계 (body-centered cubic system: cubic BCC)
-
초기위상 (initial phase)
-
초점
-
초점거리 (focal length)
-
초점깊이 (depth of focus: 초점심도)
-
초점선 (caustic curve)
-
초점흐림값 (defocus parameter)
-
총각운동량
-
총단면적 (total cross section)
-
최빈속도 (most probable velocity)
-
최소편향각 (minimum deviation)
-
최소혼동원 (circle of least confusion: ΣLC)
-
추상체
-
축전기
-
축전기의 병렬연결과 직렬연결
-
축퇴 (degenerate)
-
축퇴 (degernate; 겹침)
-
축퇴도 (degree of degeneracy)
-
축퇴물질 (degenerate matter)
-
축퇴압력 (degenerate pressure)
-
충격량
-
충격변수 ( impact parameter)
-
충격파
-
충돌과 운동량보존
-
충돌시간 (mean collision time)
-
충돌을 통한 질량추정
-
측정에서의 불확정성
-
측정에서의 불확정성 2
-
침투깊이 (penetration depth)
-
칼날의 프레넬 회절
-
커 (Kerr, 1824~1907)
-
커 상수 (Kerr constant)
-
커 효과
-
케플러식 굴절망원경
-
케플러식 굴절망원경의 원리를 알아보는 모의실험
-
켤레복소수 (complex conjugate)
-
켤레파 (conjugate wave: 공액파)
-
코너 큐브 (corner cube)
-
코르뉴 나선 (Cornu spriral)
-
코마수차
-
코발트탄
-
코튼-모튼 효과 (Cotton-Mouton effect)
-
콜레스테릭 액정 (cholesteric LC)
-
콤프턴 (A. Compton: 1892~1962)
-
콤프턴 파장 (Compoton wavelength)
-
콤프턴 효과
-
쿨롱 (C. A. Coulomb: 1736-1806)
-
쿨롱의 법칙
-
큐 스위칭
-
크로니그-페니 모형 (Kronig-Penney model)
-
크로니그-페니 모형의 양자상태
-
크로니그-페니 모형의 운동량공간 해석
-
클라인 고든 방정식 (Klein-Gordon equation)
-
클래딩 (cladding)
-
키르히호프 적분정리 (Kirchhoff integral theorem)
-
키르히호프의 법칙
-
타악기
-
타원율각 (ellipticity angle)
-
타원체거울
-
타원편광
-
타원형 가우스 빔
-
탄동진자
-
탄성충돌
-
탄성충돌과 비탄성충돌
-
탄성한계 (limit of elasticity)
-
태양의 핵융합
-
터널링 (tunneling)
-
터널효과
-
토로이드
-
토륨 계열 (thorium series)
-
토카막
-
톰슨 (G. P. Thomson)
-
톰슨 (J. J. Thomson: 1856~1940)
-
톰슨의 원자모형
-
통계역학
-
통계역학의 원리
-
통계학
-
통일장 이론
-
투과 필터 (pass filter)
-
투과계수 (transmission coefficient)
-
투과율 (transmittance)
-
투과형 홀로그래피 촬영장치
-
특수상대성이론 (special relativity)
-
틈에서의 회절
-
파동
-
파동과 빛의 간섭
-
파동과 입자의 이중성
-
파동량
-
파동묶음
-
파동묶음 모의실험
-
파동묶음과 입자
-
파동묶음의 운동 모의실험
-
파동묶음의 일반이론
-
파동묶음의 형성과 운동
-
파동방정식 (wave equation)
-
파동방정식의 해
-
파동속
-
파동속도 (wave velocity)
-
파동앞면
-
파동열차 (wave train)
-
파동은 무엇인가?
-
파동은 어떤 것이 있는가?
-
파동의 간섭
-
파동의 공간측면과 시간측면
-
파동의 물리량에 따른 분류
-
파동의 반사와 투과 모의실험
-
파동의 생성
-
파동의 성분
-
파동의 세기 (intensity: 강도)
-
파동의 수학적 성질에 따른 분류
-
파동의 수학적 표현
-
파동의 에너지
-
파동의 입자
-
파동의 중첩
-
파동의 표현
-
파동의 합성과 분해
-
파동의 회절
-
파동함수 (wave function)
-
파동함수의 대칭성
-
파면
-
파면 정보의 기록
-
파면과 광선의 관계
-
파면분리법
-
파면수차
-
파면의 재생
-
파벡터 표면
-
파속
-
파수
-
파울리 (W. Pauli: 1900~1958)
-
파워 스펙트럼 (power spectrum)
-
판데르발스 반경 (van der Waals radius)
-
판데르발스 방정식
-
판데르발스 힘
-
패러데이 법칙
-
패러데이 회전자 (Faraday rotator)
-
패러데이 효과
-
패러데이의 법칙
-
패브리 (C. Fabry)
-
패브리-페로 간섭계
-
패브리-페로 간섭필터
-
패브리-페로 에탈론 (etalon)
-
퍼텐셜 계단
-
퍼텐셜 계단 모의실험
-
퍼텐셜 계단에 진입하는 파동묶음의 운동
-
퍼텐셜 장벽
-
퍼텐셜 장벽 모의실험
-
퍼텐셜 장벽에 진입하는 파동묶음의 운동
-
퍼텐셜과 진동
-
펄스 레이저
-
펄스형 레이저
-
페로 (A. Perot)
-
페르마 (P. de Fermat; 1601-1665)
-
페르마의 원리
-
페르마의 원리에 의한 굴절법칙 해석
-
페르마의 원리에 의한 반사의 법칙 해석
-
페르미 (Enrico Fermi, 1901-1954)
-
페르미 기체모형
-
페르미 분포함수
-
페르미 에너지 (Fermi energy)
-
페르미 온도 (Fermi temperature)
-
페르미 함수 (Fermi function)
-
페르미-디랙 분포함수 (Fermi-Dirac distrubution function: FD 분포함수)
-
페르미-디랙 통계 (Fermi-Dirac statice)
-
페르미온 (fermion)
-
페르미온과 보손
-
페르미의 황금률
-
편각 (argument)
-
편광
-
편광각 (polarization angle)
-
편광기 (polariscope)
-
편광도 (degree of polarization)
-
편광방향
-
편광상태
-
편광에서 부호의 약속
-
편광의 복소표현
-
편광의 표현
-
편광축
-
편광판
-
편광판의 작동
-
편광현미경
-
편향각 (angular deviation)
-
평균속력
-
평균수명 (mean lifetime)
-
평균율 (equal temperament)
-
평균이온화퍼텐셜 (mean ionization potential)
-
평균자유거리
-
평균충돌시간 (mean collision time)
-
평면 전자기파
-
평면전하분포
-
평면파
-
평면파의 표현
-
평행판 축전기
-
포논 (phonon)
-
포물면거울
-
포물면거울을 조합한 장난감의 모의실험
-
포물선운동
-
포사체의 운동량 변화 모의실험
-
포켈스 셀 (Pockels cell)
-
포켈스 셀 광변조기 모의실험
-
포켈스 효과
-
포화전류 (saturation current)
-
표류속도 (drift velocity)
-
표면장력
-
표면장력파
-
표피깊이 (skin depth)
-
푸리에 급수
-
푸리에 변환 (Fourier transform)
-
푸리에 사인변환 (Fourier sine transform)
-
푸리에 성분 (Fourier component)
-
푸리에 적분
-
푸리에 코사인변환 (Fourier cosine transform)
-
푸리에 해석
-
푸리에변환 홀로그래피
-
푸아송 방정식 (Poisson equation)
-
푸앵카레 구 (Poincare sphere)
-
푸앵카레 구 표현
-
풀러렌 (fullerene)
-
프라운호퍼 선
-
프라운호퍼 회절 (Fraunhofer diffraction)
-
프라운호퍼 회절과 푸리에 변환
-
프라운호퍼 회절과 프레넬 회절
-
프라운호퍼 회절식
-
프랑크 (J. Franck)
-
프랑크-탐 공식 (Frank-Tamm formular)
-
프랑크-헤르츠 실험
-
프랑크-헤르츠 실험의 모의실험
-
프레넬 렌즈
-
프레넬 방정식
-
프레넬 사방정계 (Fresnel rhomb)
-
프레넬 적분
-
프레넬 적분함수
-
프레넬 회절
-
프레넬의 구역판
-
프레넬-키르히호프 원리
-
프레넬-키르히호프 회절식
-
프레넬-키르히호프 회절이론
-
프레넬-키르히호프의 수정원리
-
프리쉬 (O. R. Frisch)
-
프리즘
-
프리즘에 대한 모의실험
-
프리즘을 이용한 스펙트럼 측정
-
프링샤임 (E. Pringsheim)
-
플라스마 (plasma)
-
플랑크 (M. Planck: 1858~1947)
-
플랑크 상수 (Planck constant)
-
플랑크의 복사법칙
-
플레밍의 왼손법칙
-
필립 오토 룽에 (Philipp Otto Runge)
-
하이젠베르그 (W. Heisenberg: 1901~1976)
-
한계의 속력 c
-
할로겐족 (halogen group)
-
해밀토니안 연산자 (Hamiltonian operator)
-
핵
-
핵 마그네톤 (nuclear magneton)
-
핵력
-
핵력에 대한 양자상태의 해석
-
핵모형
-
핵무기
-
핵반응
-
핵반응의 운동학
-
핵발전
-
핵분열
-
핵분열의 모형
-
핵분열의 발견과 이를 이용한 폭탄의 제조
-
핵분열의 연쇄반응 모의실험
-
핵심전자 (core electron)
-
핵융합
-
핵융합 단면적 (nuclear fusion cross section)
-
핵융합발전
-
핵의 구성
-
핵의 구조
-
핵의 껍질모형
-
핵의 반경과 밀도
-
핵의 붕괴
-
핵의 붕괴곡선
-
핵의 붕괴법칙 모의실험
-
핵의 붕괴법칙과 생존곡선
-
핵의 스핀과 자기모멘트
-
핵의 질량과 결합에너지
-
핵자 (nucleon)
-
핵자기공명
-
핵자기공명분광법 (NMR spectroscopy)
-
핵자당 결합에너지
-
핵자들의 결합
-
핵폭탄 (nuclear bomb)
-
허물체의 결상
-
허블 우주망원경 (Hubble space telescope; HST)
-
허상
-
허용전이 (allowed transition)
-
헤르츠 (G. Hertz)
-
헤르츠 (H. Hertz)
-
헬륨-네온 레이저
-
헬름홀츠 방정식 (Helmholtz equation)
-
현미경 (microscope)
-
현미경의 배율
-
현미경의 원리
-
현미경의 원리를 알아보는 모의실험
-
현악기
-
호우트스미트 (S. Goudsmit)
-
호이헨스 (C. Huygens)
-
호이헨스 원리
-
호이헨스-프레넬-키르히호프 원리
-
혼성궤도
-
혼성화 (hybridisation)
-
혼합된 기체의 에너지 분배
-
혼합물질의 모의실험
-
홀극자 모드 (monopole mode)
-
홀로그래피
-
홀로그래피 광학소자
-
홀로그래피의 응용
-
홀로그래피의 특성
-
홀로그램
-
홀로그램 데이터 기록
-
홀로그램 스캐너
-
홀반전성 (odd parity)
-
화합물반도체 (compound semiconductor)
-
확대경
-
확대경과 각배율
-
확대경과 현미경
-
확대경의 모의실험
-
확대능 (magnifying power; MP)
-
확률론
-
확률밀도
-
확률밀도 흐름 (probability current density)
-
확률밀도의 방향 의존
-
확률밀도의 지름 의존
-
확률밀도함수
-
확산
-
환산영역 (reduced zone)
-
환산질량
-
황화아연 (zinc sulfide: ZnS)
-
회전 스펙트럼
-
회전에너지준위
-
회절
-
회절격자
-
회절격자 방정식
-
회절격자와 홀로그램
-
회절공식
-
회절과 푸리에 변환
-
횡파 (가로파동)
-
후방초점 (back focus)
-
후방초점거리 (back focal length; BFL)
-
훅의 법칙 (Hooke's law)
-
훈트의 규칙 (Hund's rule)
-
흑연 (graphite)
-
흑체
-
흑체복사
-
흑체복사의 법칙들
-
흑체복사의 해석
-
흡수계수 (absorption coefficient)
-
흡수단면적 (absorption cross section)
-
흡수선량 (absorbed dose)
-
흡수스펙트럼
-
흡열반응 (endothermic reaction)
-
희토류 (rare earth elements)
-
힘과 운동량